Latest

exhibition

서브컬처는 우리 문화다, <언더시티 프로젝트>

우리는 서브컬처를 알지만 모른다. 그것이 이미 일상에 익숙하게 녹아 들어 있다는 이유로, 혹은 반대로 나와 상관이 없다는 이유로 관심 밖 대상이 되어 왔던 탓이다. 이에 대해 <언더시티 프로젝트>는 힘주어 말한다. 서브컬처는 당신의 문화이자, 오늘 내가 즐기고 향유하는 우리 문화라고.

film curation

국민 여동생에서 위대한 감독으로, 사라 폴리의 작품 3

사라 폴리의 영화는 대체로 평온한 삶을 다루지만, 그 잔잔한 삶 속에 출렁이는 격정을 포착하는 데 능통하다. 사건의 파급력보다는 그 힘에 내쳐진 감정을 다루는 데 관심이 많고, 시간이 다 지나간 후에 허공을 응시하며 떠올리는 회한의 정서를 감각적으로 묘사한다.

music video

눈이 올까요? 눈 덮인 겨울의 뮤직비디오 플레이리스트

작년보다 한 달 이르게 서울에 첫눈이 내렸다. 다가올 새 겨울을 기다리며 언제 또 눈이 내릴지, 크리스마스엔 눈이 내릴지가 궁금해진다. 추우면서도 동시에 포근함이 느껴지는 눈 내리는 겨울의 분위기를 연상시키는 뮤직비디오 5편을 소개한다.

Bebop

세계 각지의 음악을 접목한 명상음악 3부작의 토니 스콧

그는 1950년대 맨해튼 52번가 중심가에서 클라리넷 연주로 유명한 재즈 스타였지만, 홀연 아시아와 유럽, 그리고 아프리카를 떠돌며 세계 각지의 음악을 접목하여 월드 뮤직의 선구자가 되었다.

festival

‘도시’에서 ‘서브컬처’를 말하다, <언더시티 프로젝트>

오는 12월, 부평에서 <언더시티 프로젝트>가 열린다. 10일 동안 '서브컬처'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와 배움, 전시와 체험이 펼쳐질 예정이다.

Culture

이야기 속에서 찾은 ‘그저 걷는다는 것’의 의미

걷는 것만으로 이야기의 시작과 끝을 완성하는 작품이 있다. 걷기에서 얻은 삶의 철학을 담았기보단, 정말 일상적인 행위에 특별함을 한 스푼 얹어 서서히 빠져들게 하는 이야기들이다.

film curation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오롯이 존재하는 이들, 퀘벡에서 온 영화감독들

퀘벡은 특별한 도시다. 캐나다에 속했지만 대부분 프랑스어를 사용하고, 그들에게 정체성을 물으면 나라의 이름보다 먼저 ‘퀘벡인’이라고 답하기도 한다. 경계에 있거나 혹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기에 가장 돋보이는, 퀘벡에서 온 영화감독들의 작품을 살펴보자.

interview

날뛰는 두 마리 동물들, 밴드 오칠 인터뷰

무엇 하나 진득히 하기 어려운 세상에서, 게다가 이 거친 인디 신에서 8년째 정공법으로 맞서고 있는 두 마리 동물이 있다. 여기가 어디쯤인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그들은 오늘도 자신들의 속도로 묵묵히 걷는다. 신곡 발매를 앞둔 오칠을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West Coast Jazz

로스앤젤레스의 트롬본 명인 프랭크 로솔리노의 비극

그는 밝고 명랑한 성격으로 동료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았지만, 어떤 징후도 없이 어느 날 갑자기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더군다나 어린 두 아들도 함께 데려가려고 해서 주위에 큰 충격을 주었다.

netflix

홀로서기에 나선 가난한 싱글맘의 고군분투 <조용한 희망>

남편의 정신적 학대를 견디지 못하고 딸과 함께 홀로서기에 나선 싱글맘 이야기. 상투적인 소재인데도 미국 빈곤층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여 극찬을 받은 10부작 미니시리즈다.

book curation

그림을 읽는 책

책의 주 언어는 글이다. 텍스트로 가득 찬 매체가 책이다. 그러나 글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해 삽화나 사진이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그림만이 주가 되는 그림책인 경우도 있다.

book curation

김애란, 점점 더 넓어지는 이야기

문단의 '앙팡 테리블'이라 불리며 등단 초기부터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던 작가 김애란도 이제 서른을 지나 마흔의 문턱에 다다랐다. 그 이십 년이라는 시간 동안 작가는 한국을 대표하는 소설가가 됨은 물론, 작품세계도 꾸준히 변화를 거듭해왔다.

jazz pianist

재즈에서 소울을 잇는 하몬드 오르간의 마술사, 지미 스미스

그는 피아노로 시작했지만 곧 하몬드 오르간에 푹 빠졌다. 음악은 재즈와 소울, 그리고 팝의 경계선을 넘나들었고, 자신은 아티스트가 아니라 쇼비즈니스의 엔터테이너라고 여겼다.

painter

쿠바 난민의 아들에서 가장 핫한 신예 작가로 떠오른 에르난 바스

미국 5대 컬렉터 중 하나인 루벨 컬렉션에 의해 소개되어 일약 스타작가가 된 쿠바 난민의 아들 에르난 바스의 그림들을 소개한다.

singer-songwriter

공격적인 엘리베이터의 영혼, 진저 루트의 음악

쌉쌀함 끝에 남는 단맛으로 자꾸 꺼내게 되는 한 잔의 생강차 같은, 재주를 달이고 달여서 위트 있게 꺼내어 놓는 진저루트의 음악 세계.

album release

그들이 ‘재즈’하는 법, 가을 재즈 신보 6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이 막을 내렸다. 모처럼 스산한 바람을 맞으며 관람한 재즈 무대는 여름 록 페스티벌과 다른 낭만을 전했다. 계절마다 어울리는 재즈가 있지만 분명 가을의 재즈는 특별하다. 이번 가을 나온 재즈 앨범을 통해 그들이 ‘재즈’한 방식을 살펴본다.

Culture

귀여워서 또 가고 싶은 장소 모음집

귀여운 것이 매력적인 장소, 네 곳을 소개한다. 주인장의 마음을 담아 귀여운 페르소나를 만들고, 특유의 형상을 반복적으로 사용해서 변별력을 획득한 보물 같은 공간들이다.

modern jazz

각자의 악기 영역에서 최고의 경지에 오른 존스(Jones) 삼형제

재즈 뮤지션 중 ‘존스’ 성을 가진 사람이 유난히 많다. 퀸시 존스나 조 존스처럼 단순히 같은 성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행크, 테드, 엘빈 존스 친형제 세명은 각자의 악기와 영역에서 깊은 발자취를 남겼다.

cult

흥행 실패작 <빅 트러블>은 어떻게 컬트 클래식으로 올라섰나?

존 카펜터 감독이 전성기에 제작한 <빅 트러블>은 제작비의 절반도 건지지 못한 채 실패했으나, 전작 <괴물>처럼 열혈 팬들의 컬트 반열에 오르며 곧 후속 작품이 제작될 지도 모른다.

book curation

술을 말할 때 이야기하기 좋은 단편집3

레이먼드 카버, 어니스트 헤밍웨이, 스캇 피츠제럴드, 존 치버의 공통점은 뭘까? 지독하게 술을 좋아했던 작가라는 점이다. 술을 마시는 순간이 작품에 주요한 모티프로 나오는 단편 소설집을 골라봤다.

asian indies

80년대 신스팝으로 질주하는 태국의 인디밴드 폴리캣

폴리캣의 신스팝은 우리를 1980년대로 보내지만 과거에 가두지 않는다. 오히려 가장 부지런히 나아간다. 뉴트로 세대에서 가장 영리하고 우아하게, 부드럽지만 강렬한 질주를 하고 있는 태국의 인디밴드다.

Short Animation

빈 박스를 채워 나가는 것이 인생, 단편 애니 <Who Are You?>

흑백 일러스트에 빨간 색깔을 부분적으로 입힌 단조로운 그림체로, 빈 박스와 같은 인생을 채워 나가야 한다는 교훈을 담았다. 칠레 애니메이션으로, 부에노스아이레스 영화제에서 수상한 작품이다.

based on novel

14세기 프랑스, 한 여자를 두고 목숨을 건 두 남자의 이야기

리들리 스콧 감독의 새 영화 <라스트 듀얼: 최후의 결투>는 중세 프랑스에서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맷 데이먼, 조디 코머, 아담 드라이버가 삼각관계를 둘러싼 복수극을 연기했다.

actor

베니스 국제영화제가 인정한 신인배우, 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 수상 배우

올해 열린 제78회 베니스 국제영화제는 봉준호 감독이 한국인 최초로 심사위원장을 맡으며 화제가 되었다. 이중에 파울로 소렌티노 감독의 <신의 손>은 심사위원대상뿐만 아니라 출연 배우 필리포 스코티가 마르첼로 마스트로얀니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