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일랜드 감독과 아일랜드 배우, 그리고 아일랜드 영화펀드가 투자한 아일랜드발 호러 영화가 3월 전 세계 영화관에서 선보여진다. 영화 <문라이트>와 <유전>으로 유명세를 탄 영화사 A24가 미국 시장 배급에 나서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 화가 루이스 웨인은 평생에 걸쳐 고양이 그림을 그렸다. 작품 초기에 주로 사실적인 형태였던 그의 고양이 그림은 날이 갈수록 기괴하고 독특한 모습으로 변했는데, 사람들이 정신병을 의심했을 정도다.
일본은 여러 이미지를 가진 나라다. 휘황한 도시부터 신비로운 자연까지, 다채로운 풍경을 담은 영상을 보자.
인생이 재미없는 사람을 위한 인디 게임을 소개한다. 뉴비가 적응하기 다소 어려운 온라인 RPG 게임과 달리, 스피디한 전개로 즉각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데다 애니메이션에 버금가는 스토리까지 즐길 수 있는 것으로 골랐다.
북한에서 모은 소품을 선보이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 평범한 소품에 숨은 독특하고 낯선 북한 그래픽디자인 역시 확인할 기회다.
2분 30초 길이의 짧은 단편에는 도시와 자연이 공존하는 베트남 하노이의 풍광이 차분하게 담겼다. 영상 속 생생히 스치는 풍경과 소리들은, 한 여름 하노이의 축축한 공기 속으로 당신을 데려다 줄거다.
빌 워츠(Bill Wurtz)는 음악가다. 아니면 유튜브 영상 제작자일 수도 있고, 그것도 아니라면 단순한 밈일 수도 있다. 어쨌거나 계속해서 음악과 영상을 만들어왔고, 앞으로도 계속 그러리라 믿는 빌 워츠의 인상적인 콘텐츠들을 소개한다.
색연필을 주재료로 삼아 일상의 반짝이는 순간을 담는 일러스트레이터들이 있다. 이들의 그림을 살피다 보면 서랍 속에 묵혀 뒀던 색연필을 꺼내고 싶어질지도 모른다.
영화의 시간은 영화 밖과 다르게 흐른다. 하지만 때때로 현실과 거의 같은 속도로 진행되는 영화 속 시간도 있다. 세 장면을 모아봤다. 관객이 주인공과 동일한 속도로 사건을 겪는 영화 속 순간들.
바로 내일 개봉하는 영화 <메리 포핀스 리턴즈>. 이 작품은 1964년 작 <메리 포핀스>의 속편이다. 개봉에 맞춰 두 영화를 짚어보고, 같은 이야기를 뮤지컬로 풀어낸 작품까지 만나보자.
여성의 이야기는 더 많이 세상에 나와야 한다. 이런 관점으로 여성 서사와 여성 문학에 초점을 맞추고 페미니즘 서적과 여성 작가의 작품을 큐레이팅하는 서점들이 있다. 서울을 포함해 세계 주요 도시에 있는 작지만 알찬 ‘페미니즘 서점’들을 소개한다.
아기를 유산하고 의욕을 상실한 화가에게 다가온 놀라운 존재. 화가의 그림 속에서 새는 무럭무럭 자라나는 판타지의 세계를 보여준다. 프랑스 아트스쿨 ESMA 학생들의 작품으로, 유튜브에서 5백 3십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좋은 것을 지난 추억에서 찾는다. TV 드라마도 다르지 않다. 1990년대 드라마에는 드라마 팬들이 사랑했던 풋풋한 감성이 가득하다. 역대 최고의 드라마가 전부 1990년대에 나왔다는 말은 과장이 아니다.
영국의 채프먼 형제는 ‘예술은 아름다워야 한다’는 생각을 지운다. 이들은 대담하고 엽기적인 작품을 선보이며 미술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채프먼 형제의 작품을 보자.
제목이 같은 영화를 찾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분위기의 영화들이 같은 제목을 공유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제목을 비롯하여 묘하게 비슷한 점이 있지만, 분명히 다른 개성을 지닌 동명의 영화들을 살펴보자.
2년 동안 연인 사이였던 ‘은민’과 ‘예주’. 어느 날 예주는 은민에게 헤어지자 말하고, 은민은 갑작스러운 이별을 받아들이지 못한 채 혼란스러워한다. 이별을 맞닥뜨린 이가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를 롱테이크로 담아낸 단편을 보자.
때때로 영화는 또렷한 결말을 보여주지 않는다. 드러나지 않은 귓속말을 통해, 쪽지에 적힌 미스터리한 문구를 통해 짙은 잔상을 남기는 영화 두 편을 만나보자.
나윤선, 말로, 웅산. ‘한국 재즈 보컬’ 하면 세 사람의 이름이 반사적으로 떠오른다. 이들이 한국에 보컬 재즈의 시대를 연 지 어느덧 20년이 되었지만, 세 사람의 위상과 영향력은 여전히 건재하다. 한창 최전선에서 활약 중인 세 디바의 각양각색을 돌아보자.
80년 넘도록 착실히 꾸려온 인생, 그리고 그 삶으로 쓴 시(詩)를 비춘 영화들이 찾아왔다. 어떠한 수식도 이들의 삶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할 것이다. 인생의 주인이자 시인인 할머니들을 담은 영화 2편을 소개한다.
내 모든 것이 사라진대도 단 한 사람만은 무사하길 바라는 마음을 그린 애니메이션을 소개한다. 대사 한 마디 없고 러닝타임도 짧은 작품이지만, 오스카상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최종 후보에 올랐다.
현대무용단 ‘고블린파티’에서 안무가이자 무용수로 활동하는 이경구는 그만의 독특한 스토리와 파격적인 안무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그는 무용수로서 춤을 출 뿐만 아니라 노래와 랩을 하고, 욕을 하고 힘을 쓰는 등 인간의 다양한 모습을 무대 위에 펼쳐낸다.
29살의 젊은 설탕 공예가 데즈카 신리(Tezuka Shinri). 섬세한 디테일과 장인 정신이 배어 있는 그의 동물 사탕들은 하나의 상품을 넘어, 정교한 예술작품처럼 느껴진다. 그의 작업을 소개한 영상을 감상해보자.
팬톤이 발표한 올해의 색은 ‘리빙 코랄(Living Coral)’. 황금빛과 주황이 오묘하게 뒤섞인 이 색은 낙천적인 에너지나 편안함처럼 긍정적인 감상을 안긴다. 이 색에 초점을 맞춰 영화를 들여다봤다. 일찍이 리빙 코랄 색감을 환상적으로 활용한 영화들을 소개한다.
화재 현장의 치솟아 오르는 불길, 담배를 피우기 위해 붙인 성냥불, 생일 케익 위 꽂힌 촛불…. 애니메이션에는 불에 관련한 이미지들이 빼곡히 차 있다. 극명한 색감, 간결한 그림체로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단편 애니메이션을 감상하자.
모든 것이 빠르고 편리한 시대, 폴란드 일러스트레이터 요안나 콘세이요는 오로지 연필로 그림을 그린다. 금방이라도 사각사각 연필 움직이는 소리나 후, 하고 지우개 가루 불어내는 소리가 들려올 것 같은 그림들을 만나자.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