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visual art

컬러 마스터가 공간을 짓는 방법

에마뉘엘 무효에게 색이란 그저 칠을 위한 도구가 아니다. 공간을 나누고 세우기 위한 가장 큰 요소이다. 온전히 색채만으로 견고하게 쌓은 에마뉘엘 무효의 규칙과 변주, <100 Colors>를 살펴보자.

contemporary art

자신의 피와 살을 캐스팅한 예술가들

지난 세기 현대예술이 등장하면서부터, 예술가들은 눈 앞에 보이는 모든 것을 작품의 재료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급기야는 신체 일부를 재료로 사용하는 예술가들도 등장했다. 자신의 피와 살을 소재로 한 작품으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동시대 예술가들을 소개한다.

street art

허를 찌르는 예술, 뱅크시를 찾아서

영국의 낙서 화가, 현대 예술가, 영화감독. 무엇보다 베일에 싸인 익명의 예술가, 뱅크시(Banksy). 그는 여전히 실명과 얼굴을 공개하지 않은 채 각지의 길거리를 누비며 낙서하고, 전시한다. 그렇게 허가 받지 않은 뱅크시의 행위는 온갖 ‘허’를 찌른다. 스스로도 아트 테러리스트라 부르는 뱅크시의 행적을 추적해보았다.

street art

장 미쉘 바스키아의 빛과 그림자

지금으로부터 약 30년을 거슬러 올라간 1988년 8월 12일, 미국 화가 장 미쉘 바스키아는 하늘나라로 갔다. 거칠고 지저분한 거리 낙서로 시작해 성공한 화가의 반열에 올랐으나, 비극의 그림자를 끝내 외면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난 그를 몇 가지 장면으로 추억해보자.

photography

우리가 아는 아더 에러 사진가

우리가 아는 아더 에러의 패션 사진은 칸 다가르슬라니(Can Dagarslani)가 찍었다. 노부부의 귀엽고 익살스러운 모습과 비비드 컬러의 영캐주얼 웨어를 위화감 없이 섞어낸 이미지들은 모두 칸 다가르슬라니의 솜씨지만, 사실 그는 우리가 아는 것보다 훨씬 깊은 메시지를 사진 속에 담아왔다.

photography

마리아 슈바르보바는 청명한 수영장 사진을 찍는다

슬로바키아 사진가 마리아 슈바르보바(Maria Svarbova)는 이제 막 20대 후반에 접어들었고, 수영장 시리즈를 비롯한 유수의 청명한 사진을 찍었다. 으레 눈에 띄는 건 화사한 파스텔 색감과 아름다운 빛의 사용이지만, 마냥 산뜻하고 아기자기한 느낌만은 아니다. 그의 사진에는 한 치 흐트러짐 없이 정교하게 계산된 이미지가 주는 묘한 긴장감이 늘 따라붙는다.

ukiyoe

야마시타 기요시, 여름밤 불꽃놀이

특히 일본에서 불꽃놀이는 여름의 풍물이다. 더위가 한창인 7, 8월이 되면 일본 곳곳에서 불꽃놀이가 열린다. 화가 야마시타 기요시는 그런 일본의 여름밤을 화폭에 담았다. 찰나 동안 빛을 내뿜는 국화 모양의 불꽃, 불꽃이 수면에 비친 모습과 그것을 구경하는 사람들의 머리와 몸 위로 살짝 빛이 비친 모습까지 매우 섬세하게 구현된 연작이 야마시타 기요시를 ‘불꽃놀이의 화가’로 불리게 한 대표작이다.

book

절판이라뇨, 사장님!

내가 좋아하는 무언가가 대중적인 인지도가 부족하다는 것. 그건 남들과는 ‘다른’ 감식안을 지니고 있다는 사소한 자부심으로 전환되기도 하지만, ‘상품’은 ‘대중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금세 사라지고 만다. 특히 만화처럼 빠른 주기로 순환되는 매체라면 두말할 것도 없다. 다시 접하기 힘든, 그러나 몹시도 재미있었던 만화들과, 오랜 절판 끝에 다시 복간된 만화를 말한다.

photography

6월 9일 한낮, 서울시 서대문구 신촌동 연세대학교 정문 앞

세월이 무상하다지만, 30년 만에 공개된 사진 한 장에선 뚜렷한 세월이 느껴지지 않는다. 모교 앞에서 집회를 하던 22살의 대학생이 경찰의 폭력으로 사망한 당시를 담은 일련의 사진들은 잘 보존된 선명한 색과 형태는 물론 세련된 화면 구성도 보여준다. 사진은 역사적 아이콘으로 남은 이한열 열사의 이미지를 보다 가까이 끌어당기고, 세월 사이의 거리가 실제로 좁혀진 듯한 효과마저 낳는다. 사진의 힘일까, 시간이 흘러도 크게 변하지 않은 세상 탓일까.

game

게임 <모뉴먼트 밸리>에 영감을 준 이미지들

<모뉴먼트 밸리 1>이 한 소녀의 이야기였다면, <모뉴먼트 밸리 2>는 엄마와 딸의 이야기다. 고요하고도 환상적인 게임의 분위기, 사물의 질감을 구현하는 청각 경험, 간단한 화면 터치로 캐릭터나 구조물의 반응과 동작·변형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인터렉션 디자인은 성별과 나이를 불문하고 많은 유저들의 사랑을 받았다. 출시한 2014년에 까다로운 애플의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기도 한 <모뉴먼트 밸리>가 어떤 시각 이미지의 영향을 받았는지 살펴보자.

magazine

여행의 다양한 모습을 담은 잡지들

혼란스러운 예비 여행자들도, 베테랑 여행자들도 감탄하는 여행 매거진과 무크지를 소개한다. 개별적인 정보들의 단순한 조합보다, 잡지가 지향하는 감성적 흐름과 주제 속에서 일관된 스타일을 보여주는 책들이다. 우리가 여행지에서 보고 싶어 하는 것을 미리 보여주고 소개하는 본연의 임무는 물론, 그 자체로도 한 권의 책으로서 훌륭한 완성도를 지니고 독자들을 사로잡는다. 지금 한국의 젊은 여행자들이 원하는 여행은 어떤 모습일까.

photography

여전히 행복한가요? 사진가 김옥선

여성 사진가로서 김옥선만큼 꾸준한 관심을 받아온 작가는 드물다. 그의 작품은 마치 집과 모델을 일시적으로 사진관에 옮겨놓고 셔터를 누른 것 같다. 거기에는 미묘한 껄끄러움, 부대낌, 어긋남과 불편함 같은 것들이 만들어내는 드라마가 있다.

photography

사진가의 유쾌한 가족사진

사진가의 가족이 되는 것은 어떤 일일까. 많은 사진가가 가까운 것을 찍는다. 자신을 찍고 친구를 찍고 가족을 찍는다. 그 수많은 사진 속에서 몇 장면을 골랐다. 휘황찬란한 금색 테두리에 갇힌 뻣뻣한 자세의 가족을 담은 사진은 아니다.

north korea

북한,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때때로 ‘한반도 위기설’이 찾아와야 비로소 분단국가에 살고 있음을 실감하곤 한다. 우리는 북한 젊은 통수권자의 외모, 격앙한 북한 공영방송 아나운서의 목소리 같은 것들을 익히 알고 있다. 지금 보는 북한의 이미지들은 남한에서는 전쟁, 전체주의, 폭력, 독재처럼 이미 과거가 된 것만 같은 어떤 기억들을 현재로 소환하는 매개다. 북한은 쉬운 농담이고, 조악한 이미지다. 하지만 동시에 북한은 한국의 어두운 과거, 어디엔가 도사린 공포이자 현재 진행형의 불안이다.

book

<유물즈>, 좋은 건 같이 보고 싶어서

김서울이 쓰고 김은하가 디자인한 책 <유물즈>는 개인이 역사적, 심미적 가치를 지닌 ‘유물’을 감상하는 독특한 방식을 ‘유물즈’라는 이름으로 장르화한 책이다. 시종 유쾌하고 격의 없는 평이 유물 사진에 덧붙여지는 책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자연히 ‘덕력’이 느껴진다. <유물즈>를 읽고 나면, 어느샌가 박물관의 예쁘고 못생긴 그릇이나 불상들 사이에서 누군가와 깔깔 웃고 있을지 모른다.

lgbtq

2017년의 서울과 드래그 퀸(Drag Queen)

변신이나 변장은 언제나 사람들을 매혹한다. 그런 의미에서 드래그는 재미있는 정체성의 놀이이기도 하다. 드래그 퀸은 사회 속에서 ‘여성’이라고 부르는 문화의 조각들을 단순히 가져오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성’에 대한 자기 생각과 느낌을 드래그에 반영한다. 거기에는 자신이 살아온 문화, 사회적 환경, 자신의 의식이 담겨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드래그의 독창적인 아름다움과 개성 등은 여타 예술 장르나 시각문화에도 여러모로 영향을 끼쳤다.

fashion

진화하는 패션 필름의 세계

패션 필름(Fashion Film)은 패션 브랜드와 기업이 제품 광고를 목적으로 만드는 짧은 영상들을 통칭하는 말이다. 패션 필름은 지금 무엇이 가장 인기 있고, 세련된 것인지를 짧은 시간 내에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패션쇼 백스테이지의 모델 메이크업 동영상부터 스타들의 인터뷰, 유명 예술가와 협업한 단편 영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패션 필름의 세계를 소개한다.

illustration

오브리 비어즐리와 혼란 속의 살로메

세기말의 혼란이 가득한 영국 빅토리아 시대 말기. 오브리 비어즐리는 오스카 와일드의 희곡 <살로메>의 삽화를 그렸다. 가느다랗고 장식적인 선, 검은색과 흰색의 극적인 대비, 과감한 패턴, 노골적인 성적 묘사로 활동 당시 수많은 반향과 잡음을 함께 일으켰다. 안타깝게도 25세에 요절하고 말았지만, 그의 삽화들은 아직도 어둡고 불가사의한 정서 속으로 보는 이들을 이끈다. 도회적 세련미가 넘치는 오브리 비어즐리의 그림은 여전히 사진보다 생생하다.

illustration

일러스트레이터 이일주, 피바람이 부는 와일드 월드

이일주 그림의 주된 테마는 폭력이다. 낙서처럼 보이기도 하면서 강박적일 만큼 디테일한 묘사가 돋보이는 날카로운 정서는 우리 안에 눅진하고 검은 타르처럼 엉겨 붙은 감정을 쿡쿡 찌른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세상의 악에 대한 대체 위안이 되기를” 바란다. “누군가를 찌르고 싶다는 기분을 느껴본” 적 있다면, 대신 자신의 그림을 보라는 이야기다. 그러니까 부디, 직접 찌르지는 말라는 말. 꼭 내 안의 잔인함을 엿보기라도 한 듯 그는 묵묵히 피가 튀기는 장면들을 부지런히 그려낸다.

fantasy

<스티븐 유니버스>가 그리는, 있는 그대로 완벽한 세계

1989년생 여성이자, 커밍아웃한 성 소수자며, K-Pop과 일본 만화 팬인 리베카 슈거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스티븐 유니버스>가 주는 메시지는 “너는 있는 그대로 완벽하다”는 것이다. 판타지로 가득하지만, 결국 그 세계에 현재진행형으로 억압받는 소수자들을 전면으로 내세우며 인종, 성별, 계급 차별에 투쟁한다. 존중과 자기 긍정의 메시지를 사랑으로 감싸 능란하게 펼치는 <스티븐 유니버스>는 지금 이 시점에 꼽을 수 있는 가장 혁신적인 애니메이션 중 하나다.

photography

래리 클락이 보고하는 젊음의 어떤 장면들

집 앞마당에서 부모가 아이들을 때려도 아무 일 일어나지 않던 미국의 소도시 털사에서 나고 자란 래리 클락. 소도시 10대들의 불우한 삶을 10년 동안 여과 없이 담아낸 사진집 <털사(Tulsa)>로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유스컬쳐’의 거장으로 불리는 사진가이자 영화감독 래리 클락의 작품세계를 들여다보자.

video art

미술관에 간 슈퍼 마리오

<포켓몬 고>는 ‘어떻게 하면 한 사람을 밖으로 나가게 할 수 있을까?'를 과제이자 목표로 삼아 만든 게임이다. 이처럼 사용자와 서비스 사이 상호작용을 다루는 인터렉션 디자인은 특히 게임 분야에서 빛을 발한다. 2012년 뉴욕 현대미술관(MOMA)이 14점의 비디오 게임을 소장하기로 했을 때 비평가들은 왈가왈부했지만, 정작 게임을 즐기는 일반 사람들은 기꺼워했다. 이것은 대중들이 고급한 예술과 저급한 예술의 구분에 무심한 결과일까? 아니면 이미 많은 이가 이 게임들을 훌륭한 디자인의 결과물로 간주하고 있다는 뜻일까?

illustration

이가 시리도록 달콤한 앤디 워홀의 일러스트레이션

패션과 문화, 돈과 명성의 중심지 뉴욕에서 패션 일러스트레이터로 커리어를 시작한 앤디 워홀. 팝 아트의 선구자가 되기 전, 처음 세상을 향해 발을 디딘 20대의 앤디 워홀은 어떤 모습일까. 정제되지 않은 욕망과 호기심, 흥미가 설탕처럼 흩뿌려져 반짝이는 그의 1950년대 일러스트레이션 책을 소개한다.

tv animation

솜사탕처럼 달콤한 “바바파파 요—술!”

동그란 눈과 속눈썹, 웃는 입에 두루뭉술한 분홍색 몸을 한 바바파파는 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모두에게 사랑받는다. 차이와 평등, 조화의 가치를 전달하는 바바파파의 솜사탕처럼 달콤하고 친절한 세계를 구경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