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사람과는 평생 함께할 것만 같았다. 그가 늙는 것, 내가 나이 들어가는 것, 나의 기쁨과 슬픔, 인생의 다양한 일. 모든 것을 나누며 지금과 같은 시간을 언제까지나 보낼 줄 알았다. 그러나 그런 나의 바람은 쉽게 꺾였고, 결코 실현될 수 없었다.
스타와 정치인의 초상화를 찍는 초상사진작가인 그는 본격적으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30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브래드 피트나 커트 코베인부터 달라이 라마, 버락 오바마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명인, 예술가, 정치인, 종교 지도자의 상징적인 순간을 카메라로 담았다.
영화 40여 편과 일곱 시즌으로 이어진 인기 애니메이션 <루팡 3세> 성공의 배경에는 50여 년 동안 꾸준히 1,200여 곡의 방대한 음악을 제공한 재즈 피아니스트 유지 오노가 있다.
수많은 매체에서 미국 4대 작가를 거론하는데 그 중에서도 필립 로스는 가장 왕성한 창작력과 대중적인 인지도를 지닌 작가로 손꼽힌다. 대표작으로 불리는 미국 3부작은 작가 본인을 연상케 하는 유대인 화자 ‘네이선 주커먼’을 내세워서 미국 사회를 신랄하게 공격했다. 오늘은 아메리칸 드림의 환상에 젖은 미국 이민자의 눈을 통해 미국 사회의 폐단을 예리하게 짚어낸 필립 로스의 미국 3부작을 소개한다.
30세 엄마보다 성숙한 15세 딸의 성장 드라마. 20여 년 전 인기 드라마였던 <길모어 걸스>가 연상되는 구성에 약간의 미스터리를 더했다. 게다가 인종과 젠더 이슈는 빠질 수 없는 요소다.
동영상 편집에 능란한 그는 재기 넘치고 톡톡 튀는 짧은 영상을 제작하여 동영상 플랫폼에서 팬덤을 구축하고 기록적인 조회 수를 올렸다. 그가 2022년에 제작한 마술 영상들을 감상해보자.
MTV의 뮤직 비디오 붐을 타고 무명의 노르웨이 3인조 밴드의 데뷔곡 ‘Take On Me’가 세계 36개국에서 톱에 올랐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도 소개된 이들의 스타 탄생에 대해 알아보았다.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감독을 떠올리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희망적인 건, 몇 년 전부터 평단과 관객 사이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한 노르웨이 감독이 있다는 거다. 국내에도 개봉한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의 감독, 요아킴 트리에다.
백화점의 피팅룸이나 주택가의 보행터널, 그리고 고층빌딩의 엘리베이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공간이지만, 이곳도 기이하고 무시무시한 도시 괴담의 현장으로 변할 수 있다.
가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들이 있다. 여름엔 댄스 뮤직이 듣고 싶고, 겨울에는 R&B나 재즈의 따뜻함을 찾게 되는 일 같은 거 말이다. 겨울만이 줄 수 있는 고독함, 차분함 그리고 이런 마이너스 감각을 상쇄시켜줄 따뜻함 한 스푼을 곁들인 곡들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세계 3대 기타리스트로 불렸던 에릭 클랩튼, 제프 벡, 지미 페이지 모두 1960년대에 활동했던 영국 밴드 야드버즈 출신이다. 그 중 제프 벡이 78세의 나이에 생을 마감하였다.
이 주인공들에게는 좀처럼 욕망이 비치지 않는다. 혹은 그것이 생이 아니라 사를 향한다. 진지하게 죽음을 계획한다는 뜻은 아니다. 이중 몇에겐 그럴 의지조차 남지 않은 듯하다. 날마다 조금씩 혹은 틈날 때마다 간헐적으로, 스스로를 파괴하거나 고립시킨다.
봐야할 곳도, 먹어야 할 음식도 많아 욕심이 많다면 바쁘게 움직여야 한다. 그 중에도 대만의 수도, 타이베이. 어느 나라를 가든 그 나라만의 독특한 공간을 찾는 당신을 위해 준비했다.
드라마로 제작된 <재벌집 막내아들>처럼 최근 웹툰과 웹소설의 판타지 장르에서 회귀, 빙의, 환생 등 소위 ‘회빙환’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회빙환 장르 영화 다섯 편을 알아보았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 미국 SXSW 페스티벌에 초청되었으나 입국이 제한되어 비자가 취소되었던 그. 보란듯이 미국으로 건너가 캘리포니아 조슈아 트리 국립공원에서 찍은 뮤직비디오를 공개하였다.
배역에 맞게 신체를 자유자재로 바꾼다고 해서 ‘육체의 연금술사’라 불리는 그. 2023년 넷플릭스 첫 영화에서 1830년을 배경으로 가족을 잃고 외롭게 살아가는 뉴욕의 퇴역 수사관을 맡았다.
100여 년 전 영국에서 부르주아로 살아가는 삶을 거부하고, 낯선 멕시코에서 새로운 인생을 만들어간 예술가 리어노라 캐링턴. 기성 관습에 의문을 던지고 현실 이면의 신비로움을 탐구해온 그녀의 작품은 현재에도 여전히 강렬하게 마음을 끈다.
작품의 종반, 작전 타임 시간에 안 감독이 주전 선수들에게 화이팅과 결의를 이끌어내며 선수들 하나하나 각자가 팀에 보탬을 준 요소들을 언급하는 장면이 있다. . 그런데 여기서 송태섭에게는 스피드와 감성을 이야기한다.
난해하게만 여겨졌던 현대미술을 향한 거부감이 많이 줄었다. 주말마다 도심 곳곳에서 전시회가 열리고, 자기 취향에 맞는 작품을 찾는 이들이 만원사례를 이룬다. 읽고 나면 당장 미술관으로 달려가고 싶어지는 미술책 세 권을 소개한다.
자신을 괴롭히는 친구들이 죽게 내버려 둘 것인가. 아니면 살인자에 맞서 그들을 구할 인가? 십대 소녀 ‘사라’의 딜레마에서 시작된 이 작품은 고야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면서 장편 슬래셔 영화로 제작되었다.
영화 <위플래쉬>와 <라라랜드>의 흥행 듀오 데미언 셔젤 감독과 저스틴 허위츠 음악감독이, 무성영화가 끝나가던 1920년대 후반 할리우드의 혼돈 시절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들여다보았다.
인간은 더 이상 하나의 유기체가 아니다. 우리의 신체는 스마트폰, 실리콘, 피어싱, 약물 등 온갖 외부 물질과 뒤섞여 우리가 스스로를 바라보고 세계를 인식하는 방식을 변화시켜왔다. 외부와 내부의 경계에서 끊임없이 흔들리며 변화하는 인체는 이미 그 자체로 사이보그다.
그에 대한 온갖 마음, 예쁘게 간직하고 싶은 그와 함께한 모든 기억들, 그를 향한 그리움. 모든 마음을 담아서 사랑한다는 말 대신에 어떤 노래를 들려주고 싶냐고 주변인들에게 물었다.
마일스 데이비스는 한때 재즈 뮤지션 생활을 접으려고 했다. 이때 컬럼비아 레코드가 그에게 길 에반스를 어레인저로 붙여 주었고, 두 사람은 함께 서드 스트림 3부작으로 불리는 명반을 만들어 냈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