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위기는 현실로 다가왔지만 각자의 반복되는 일상 앞에서 이 세상이 멸망하는 일은 꽤나 아득해 보인다. 만약 그 끝이 이미 다가왔다면 어떠할지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 있다. 대만 드라마 <무신지지불하우>는 종말의 끝자락에 선 세계를 다룬다.
BBC는 최근 12편의 미니시리즈 <I May Destroy You>를 21세기를 정의하는 드라마의 하나로 포함시키며 ‘TV의 미래’라 극찬했다. 이 드라마의 어떤 점이 주목을 받았는지 알아보았다.
일본의 부모들은 밥을 안 먹는 아이들에게 배고픈 악령 ‘바케모노’가 찾아올 거라고 겁을 주곤 했다. 이 단편 영화에는 한발 더 나아가 음식으로 악령을 불러내는 아이가 나온다.
아무 생각 없이 길을 걷다가, 작은 스마트폰 화면 속을 부유하다가 잠시 걸음과 손을 멈추게 하는 목소리가 있다. 음이 하나하나 굴러가다 보면 어느새 노래가 끝나고, 멈춰 있는 것만 같던 시간 역시 다시 흐른다. 예빛의 노래를 듣는 순간이다.
영화 시장은 그리 크지 않지만, 덴마크는 영화사에서 늘 주목받아온 나라이고, 많은 명감독을 배출했다. 도그마의 주역이었던 라스 폰 트리에와 토마스 빈터베르그는 도그마 선언 이후로 지금까지도 덴마크를 대표하는 영화인들이다.
날씨가 상쾌해서 틈만 나면 산책을 한다. 동네 곳곳에서 바스락거리며 자라나는 봄의 태동이 느껴진다. 봄날에는 몸과 마음이 동해서 사랑에 관한 책으로 자꾸만 손이 간다.
영화사에 길이 남은 영화의 명장면에는 주옥같은 음악들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서로 떼어놓고는 생각할 수 없는 싱크로율 100%의 영화와 영화음악 일곱을 선정해 보았다.
이마트가 ‘Slice of Life’ 프로젝트를 통해 ‘2X9’와 뭉쳤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진행된 이옥섭과 구교환의 두 연출작에서 일상 속에 스며든 예측불허의 독특한 세계를 만날 수 있다.
그는 30년 동안 고객이 선택하지 않은 ‘두 번째’ 사진들을 모았다. 이제는 생산되지 않는 20x24인치 대형 폴라로이드와 사진작가 엘사 도프먼의 이야기다.
각종 청춘물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90년대생을 이해하고자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2000년대생이다. 지금도 성장 중인 어린 음악가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이 작품에는 스토리라인이 없다. “사랑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여러 장면들로 답을 찾으려 한다. <러브 데스+로봇>의 에미상 3관왕 <목격자>를 만든 알베르토 미엘고 감독의 개인 프로젝트다.
프로듀서 노먼 그랜츠는 1953년부터 아트 테이텀의 피아노 연주를 다양한 형식으로 담아냈다. 오랜 세월이 지나 ‘파블로’를 설립한 그는 옛 마스터를 다시 찾아내 기념비적인 시리즈를 구성했다.
벌써부터 강력한 올해의 음반 후보라는 이야기가 들려온다. 해외 반응도 이에 부응한다. 여러 호평이나 이와 같은 기대에 관한 공감대에는 분명 이유가 있을 것. 250을 만나 앨범 작업기, 음악에 관한 생각을 자세히 들어봤다.
다만 관객들에게 그의 영화는 평이 극단적으로 갈린다. 세상이 쉬쉬하는 불편한 진실을 집요하게 응시하기 때문일 거다. 도발적이라는 말이 가장 잘 어울리는, 브루노 뒤몽의 영화를 살펴보자.
때로는 음원 보다 라이브 버전에 더 이끌릴 때가 있다. 태국 뮤지션들의 라이브 세션 버전 무대를 모아보자.
그는 1976년부터 10여 년 동안 매일 자신의 하루 일과를 구술하여 기록으로 남겼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6부작 다큐 시리즈는 그의 내밀한 사생활과 고독한 감성을 여과없이 보여준다.
미드 <하우스>와 <유포리아>의 음울하고 극적인 장면의 배경음악 ‘My Body Is a Cage’, 그리고 디스토피아 SF 드라마 <블랙 미러>의 영감을 제공한 밴드 ‘아케이드 파이어’에 대해 알아보았다.
‘공전’은 본래 공평하다는 의미의 한자 ‘公’(공)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전시, 공연 <공전; Orbit>은 두 존재가 서로 두 손을 맞잡고, 함께 팔짱을 낀다는 연대의 의미를 강조해 그 제목을 ‘拱’(공)으로 표기한다.
그는 어느 한쪽을 굳건히 대표하기보다 평행선 같은 양극단을 이어붙이고자 하는 사람에 가까웠다. 그리하여, 공교롭게도 본인 스스로 ‘래빗’임을 자처한 오하이오래빗은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기 위해 부단히 나아가는 중이다.
당신은 어떤 청춘을 보내고 있나? 혹은 이미 청춘을 보내 버렸나? 인생의 가장 반짝거리는 시절을 묶어 ‘청춘’이라고 부른다. 청춘을 말하는 글, 음악, 영화를 한데 묶어 소개한다.
바쁘게 살다 보니 놓치고 사는 것들이 있다. 목전에 닥친 일을 해치우기 바빠 과거를 복기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일은 뒷전으로 밀린다. 지금, 이 순간에 충실하여지라는 '카르페 디엠'을 입버릇처럼 되뇌지만, 오늘을 수습하는데 경황이 없어 허둥대다가 잠자리에 든다.
1980년대 단 세 장의 앨범으로 신스팝의 기수로 떠오른 두 사람은 10년에 걸친 불화를 끝내고 다시 활동을 개시했다. 올해 새 앨범 <The Tipping Point>는 영국 5위, 미국 10위권에 오르며 옛 명성을 부활하였다.
빠르고 각박한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동화는 순진하고, 에세이는 왠지 뻔하다. 소설 속 현실은 너무 잔인하고, 시는 난해한 말투성이다. 다행히 일상과 판타지의 미묘한 경계 위에 유라의 노래가 있다.
전쟁이 끝날 무렵인 1945년, 영국 폭격기가 덴마크 코펜하겐의 게슈타포 본부 공습을 감행했다. 하지만 인근 학교에 폭탄이 떨어져 민간인, 특히 수많은 어린이 사상자가 발생하는 참사였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