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오십의 사진가 임재천은 한국의 방방곡곡을 걷고 찍으며 살아가는, 일명 ‘뚜벅이’ 사진가다. 그는 알 만한 사람은 다 아는 중견 다큐멘터리 사진가로, 그동안 몇 권의 사진집을 내고 전시도 열었다. 그중 그가 2014년부터 시작한 프로젝트 <50+1>이 2017년 9월 세 번째 전시를 맞았다.
프로젝트 <50+1>은 사진가 임재천을 주축으로 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다. 2014년 초, 그는 페이스북으로 직접 후원자 모집을 알렸다. 1백만 원씩 후원해줄 50명이 모이면 작가는 그로부터 한 달에 10일씩, 1년 120일 동안 한국의 도시 중 한 곳을 정해 돈 걱정 없이 사진작업을 수행한다. 그다음 후원자들이 각각 최종적으로 고른 1컷씩 더한 50점을 2주간 전시하고, 각 후원자는 자신이 고른 사진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더불어 사진가는 <한국의 발견>이라는 프로젝트 사진집을 펴내게 된다. 그렇게 2014년 4월, 50명으로부터 5천만 원의 후원금이 모였고, 사진가 임재천은 그 첫 번째 대상인 제주도를 찍었고 성공적으로 전시를 마쳤다.


이 프로젝트는 총 10년에 걸쳐 국내 6개 도, 3개 시를 사진으로 기록하는 장기 프로젝트로, 특히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후원을 바탕으로 추진하는 이례적인 프로젝트이자 도전이다. 우려와 기대가 섞인 이 도전은 현재 성공적으로 진행 중이다. 사진가 임재천은 2015년에 강원도, 2016년에는 부산광역시를 찍었다. 그 세 번째 프로젝트의 종착지인 부산을 담은 사진들이 지난해 9월 한 달간 강남에 위치한 대안 갤러리 스페이스22에서 전시되었다. 역시 50명의 후원자가 고른 50점의 사진이 걸렸다. 전시 시작일에 맞춰 프로젝트 사진집 <한국의 재발견 03 – 부산광역시>도 발간됐다. 50명, 아니 그 이상의 든든한 응원을 벗 삼은 사진가가 하루 평균 20km씩 걸어 다니며 발견하고 촬영한 부산의 속살을 들여다볼 기회였다.



2016년 8월 22일 첫 촬영을 시작한 때로부터 허리 디스크 발병으로 인해 더 이상 촬영을 할 수 없게 된 2017년 4월 10일까지 9개월, 90일에 걸쳐 부산 전역을 다녔다. 15개 구와 1개 군, 그 아래로 253개 동·리와 3개 읍, 2개 면이 있는 부산에서 단연코 마음을 사로잡은 곳은 부산공동어시장을 포함한 자갈치시장과 영도, 그리고 산복도로였다. 날씨가 좋지 않거나 동행자의 도움을 받아 차를 타고 다닐 때 외에는 거의 하루 평균 20킬로미터씩 걸어 다니며 촬영을 했다. 사실 부산은 걷지 않고서는 쉽사리 속내를 볼 수 없는 도시였다.
(중략)
부산의 한자 표기는 釜山이다. 가마 부(釜)에 뫼 산(山), 즉 가마솥 모양의 산을 의미하며, 순우리말로는 ‘가마뫼’다. 부산 동구 좌천동에 있는 증산의 옛 이름이 ‘가마뫼’다. 멀리서 보면 산 모양새가 가마솥을 닮았다고 해서 조선초기부터 붙여진 이름이다. 지명조차도 산과 산으로 이뤄졌을 정도로 부산은 도심 안에 산이 많다. 인구 350만 명 가운데 100만여 명이 그곳에 깃들어 살고 있으며, 또 그 사람들을 위한 산복도로(山腹道路)가 몇 갈래로 나뉘어 산 위, 아래를 잇고 있으니 무슨 설명이 더 필요할까.- <50+1, 2016 부산> ‘작가의 말’ 중에서
임재천은 수년간 한국인 다큐멘터리 사진가로서 이면에 숨겨진 한국의 풍경을 포착해왔다. 그의 사진은 단순한 시각적 미감을 넘어 진실한 삶의 풍경을 다시금 발견하게 한다. 그것은 곧 사진가가 지닌 지역에 대한 책임감과 자긍심, 나아가 그 대상에 대한 진실한 애정으로부터 발현된 것이다. 많은 이들이 뚜벅이 사진가 임재천을 응원하는 이유다.

스페이스22 홈페이지
사진가 임재천 페이스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