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니 미첼(Joni Mitchell)은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싱어송라이터로 인정받는 포크 가수다. 초기에는 작곡가로만 활동하다가 자신의 첫 앨범 <Song to a Seagull>(1968)로 가수 데뷔하여, 40여 년 동안 현역으로 활동하면서 모두 19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고 그래미를 9회 수상한 레전드다. 그의 음악은 대부분 기타나 피아노 반주의 단출한 형식이었지만, 자신이 직접 쓴 가사에는 시대 정신이 담겨 있었다. 조니 미첼의 대표곡 ‘Both Sides Now’(1966)는 영화 <러브 액츄얼리>(2003)에서 남편의 외도를 알아챈 엠마 톰슨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에 삽입되었고, 그의 ‘Chelsea Morning’(1969)을 들었던 클린턴 대통령 부부는 딸의 이름을 ‘Chelsea’라 지을 정도로, 그의 음악은 사회적 영향력이나 반향이 컸다.
어린 시절 독학으로 기타를 마스터한 그는, 캐나다 북서부 서스캐처원 지역의 와스케시우(Waskesiu) 호숫가에서 친구들과 모닥불을 피워 놓고 노래하기를 좋아했다. 그러다가 집 근처의 클럽에 고용되어 기타를 치고 노래를 부르면서 함께 일하던 포크나 재즈 뮤지션들과 어울렸다. 그는 재즈 스타일로 노래하거나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악을 좋아했고, 재즈 보컬 트리오 ‘Lambert, Hendricks & Ross’의 베스트 음반 복제판을 구해서 밤마다 반복하여 들었다. 결국 그 음반에 수록된 재즈 스탠더드를 외우다시피 했는데, 이때부터 재즈 음악에 대한 애정이 싹트기 시작했다.
재즈에 대한 관심이 본격화된 때는 1970년대 중반, 재즈를 위시하여 음악 전반에 장르 간 결합, 즉 퓨전이 대세로 자리 잡을 무렵이었다. 그의 여덟 번째 앨범 <Hejira>(1976)을 기획하면서 전통적인 포크에서 벗어나 실험적인 음악을 하고 싶던 차에, 록이나 팝 계열의 세션 뮤지션 대신 재즈 계열의 자코 패스토리우스(Joco Pastorious)을 소개받은 것이다. 두 사람은 즉각 의기투합했고, 자코는 자신이 속한 퓨전 밴드 웨더 리포트(Weather Report)의 동료인 드러머 돈 앨리어스(Don Alias)와 색소포니스트 웨인 쇼터(Wayne Short), 그다음에는 피아니스트 허비 행콕을 차례로 불러들여 잼 세션 활동을 함께 하곤 했다.
조니 미첼의 열 번째 앨범 <Mingus>(1978)는 루게릭병으로 죽음을 앞둔 찰스 밍거스와의 협업으로 유명하다. 죽기 전 뭔가 뜻있는 프로젝트를 하고 싶었던 밍거스는 프로듀서가 들려준 조니 미첼의 아홉 번째 앨범 <Don Juan’s Reckless Daughter>(1977)에 흥미를 갖게 되었다. 조니 미첼은 밍거스의 제안에 따라 뉴욕의 아파트에서 그를 만났고, 그와의 협업에 반대하는 주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협업을 강행했다. 밍거스가 휠체어에 의지한 채 작곡한 신곡 6곡에 조니 미첼이 가사를 쓰고 노래를 하였다. 명반 <Mingus An Um>(1959)에 수록되었던 ‘Goodbye Pork Pie Hat’에도 가사를 붙여 처음으로 노래했다. 하지만 최종 앨범을 보지 못한 채 발매 한 달 전에 밍거스는 생을 마감하였다.
조니 미첼은 신작 <Mingus>의 홍보를 위해 공연에 나섰다. 자코 패스토리우스, 돈 바이어스, 팻 매스니, 마이클 브레커 등 재즈 스타들이 대거 참가한 공연이 비디오로 제작되어 영상 <Shadows and Light>과 LP 음반에 담겨 발매했고, 오늘 날 유튜브에서 부분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앨범 <Mingus>는 평론가들의 평가나 음반 판매는 신통치 않았으나, 라디오에 자주 방송되어 앨범 차트 17위에 오르는 기적을 보여주었다. 조니 미첼은 친구이자 프로듀서인 데이비드 게펜을 따라 게펜 레코즈로 이적하였고, 그곳에서 연인을 만나 팝 계열의 음악으로 다시 돌아왔다.
건강이 악화해 쓰러지기도 했던 조니 미첼은 근래에 많이 회복되어, 지난해 NAMM TEC 시상식에 참여하여 여성으로는 최초로 레스 폴 어워드(Les Paul Award)를 수상하는 영광을 누리기도 했다. 그는 올해로 78세의 생일을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