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er-songwriter

electronic music

차갑게 절제된 격정, 주목받는 국내 쿨 일렉트로닉 싱어송라이터 4인

지금 여기 다시 떠오르는 혹은 이미 뜨겁게 인기를 끌고 있는 일렉트로닉 싱어송라이터들이 있다. 이들은 최근 발표한 음악에서 서로 다른 격정과 주제의식을 차갑게 절제된 보컬과 특유의 매력적인 무드로 뽐내며, 국내 일렉트로닉 음악의 한 영역을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folk music

여전히 건재한 1960년대 런던 포크록의 중심, 앨 스튜어트

런던에 갓 상경했을 때 폴 사이먼과 함께 아파트에 살았고, 음반을 낼 무렵 새내기 세션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와 함께했다. 존 레논을 만나기 전 오노 요코 영화에 투자한 이도 그였다. 말하자면 그는 런던 소호 포크 신의 터줏대감이었다.

album release

봄의 끝자락에 놓인, 주목해야 할 국내 신보 넷

벌써 봄의 끝자락이다. 기분을 몽글하게 해주는 편안한 포크 팝부터 잠 못 드는 밤을 위한 짙은 사운드까지. 당신의 플레이리스트를 좀 더 풍성하게 해줄 국내 신보를 꼽았다.

folk music

마빈 게이와 비교되는 소울 가수가 등장했다, 마이클 키와누카

그의 노래에는 깊은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소울이 담겨있어 1970년대의 소울 ‘전도사’ 마빈 게이나 빌 위더스와 자주 비교된다. BBC'S Sound of 2012에 선정된 영국 뮤지션인 마이클 키와누카, 어둡고 스산한 분위기의 미국 드라마에서 자주 그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spring song

꽃을 부르는 노래

한껏 날이 따뜻해지면서 봄꽃이 피어나고 있다. 꽃을 모티브로 자신만의 이야기를 담아낸 노래들을 만나봤다. 봄마다 피어나는 꽃은 비슷해 보여도, 노래에 나타난 꽃은 저마다 처음 보는 얼굴이다.

interview

마음속 풍경을 소리로 치환하는 방법, 뮤지션 김해원 인터뷰

김해원은 그간 김사월x김해원 듀오로, <셔틀콕>, <소셜 포비아> 등 작품의 음악감독으로 끊임없이 자신의 음악적 세계를 구축하고 확장해왔다. 그의 음악은 귀로 흘러들어 왔다가 끝내 마음에 박혀 공명을 만들어내는 견고한 힘을 지녔다. 지난 3월, 마침내 자신의 이름으로 첫 솔로 앨범을 발표한 그를 기쁜 마음으로 만났다.

singer-songwriter

영화 <러빙 빈센트>에서 발견한 신예 싱어송라이터, 리앤 라 하바스

영화에서 돈 맥클린의 ‘Starry Starry Night’을 도회적인 허스키 보이스로 리바이벌한 그는 이제 두 장의 앨범을 출반한 신예지만, 그래미 최우수 어번 컨템포러리 앨범 부문에 노미네이트되며 샤데이와 에이미 와인하우스를 잇는 차세대 스타로 떠오르고 있다.

electronic music

해체와 조합의 미학, 제임스 블레이크

어떤 이에겐 생소하고 어떤 이에겐 익숙할 이름, 제임스 블레이크. 십 년 전 세상에 나온 그의 음악은 전에 없던 새로운 형식과 사운드를 선보였고, 늘 변화와 발전의 선두에 자리했다. 지난 십 년을 말할 때 빼놓아선 안 될 제임스 블레이크의 음악 세계를 들여다봤다.

city pop

새해에 듣는 새로운 기분의 음악

음악가 히사이시 조의 말처럼 1층으로 들어갔지만 노래가 끝나면 2층 베란다를 통해 나가는 기분이 드는 음악들이 있다. 다 듣고 나면 마음이 부풀어 올라 뭔가 새롭게 시작할 수 있는 용기를 북돋게 하는 노래들을 만나보자.

singer-songwriter

이상한 세계를 노래하는 길 위의 작은 모험가, 앨리스 피비 루

작은 체구지만 누구보다도 깊고 커다란 울림을 지닌 목소리로 베를린의 길 위에서 노래를 불러온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의 뮤지션 앨리스 피비 루의 여정은 흡사 한 편의 모험소설을 읽는듯하다. 버스킹으로 시작해 2018년 오스카 베스트 오리지널 송 부문 최종후보자까지 이름을 올린 그의 여정을 따라가보자.

interview

고요하고 특별한 세계를 만나다, 뮤지션 김사월 인터뷰

음악을 관심 있게 듣는 사람이라면 김사월의 이름을 모르는 이는 아마 드물 것이다. 김사월X김해원으로 발매한 EP <비밀>, 솔로로 발매한 1집 정규 <수잔>을 통해 두 해 연속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포크 음반상을 거머쥔 싱어송라이터, 김사월이 얼마 전 라이브 앨범 <7102>를 들고 왔다. 고요한 듯 특별한 세계를 구축한 이 뮤지션을 만나 앨범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Dream pop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은 한국계 뮤지션들

2017년은 어느 해보다 한국계 미국인 여성 뮤지션들이 큰 주목을 받았다. 이 젊은 뮤지션들은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스타일과 방식으로 활동하며 평단과 대중의 사랑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은 그들의 음악을 만나보자.

interview

노래하는 여자, 장윤주를 만나다

2017년의 장윤주에게 모델 또는 엄마보다 음악가라는 수식을 좀 더 앞에 두고 싶은 건, 맑은 목소리로 소소한 위안을 주던 장윤주의 음악을 기억하기 때문이다. 5년 만에 새 앨범으로 돌아온 싱어송라이터, 장윤주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neo soul

소울 음악의 부활, 네오 소울과 함께 여권 신장을 전파한 세 명의 아티스트

1990년대 후반 당대 주류 음악이던 R&B와 힙합을 결합한 네오소울 음악이 등장했는데, 이들은 싱어송라이터이자 사회운동에 관심이 많았으며 그들의 뿌리에 관심이 많다는 공통점을 가진 여성들이었다.

singer-songwriter

불같은 성격으로 격정적인 삶을 산 싱어송라이터, 니나 시몬

1960년대 미국의 격렬했던 인권운동의 현장에서 강렬한 음악으로 정치적 메시지를 전파했던 그는, 자신의 삶과 미국을 증오하며 모든 것을 버리고 떠났다. 하지만 아프리카와 유럽을 전전하며 고독하고 쓸쓸한 말년을 보내야 했다. 그는 진정한 자유를 찾았을까?

singer-songwriter

2017년 지금, 런던의 인디

밴드 아도이(ADOY)의 보컬 오주환이 소개하는 런던의 인디 음악 신. 글로벌 스탠다드라고 하지만 여전히 영미권 음악이 그 선두에서 세계 음악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2017년의 런던에서 새롭게 떠오른 신예 뮤지션들을 만나보자.

pop music

작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가수, 샤데이

1980~90년대 5,000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리며 돌풍을 일으켰던 샤데이(Sade). 오래전부터 영국 전원마을에서 은둔 생활을 하고 있지만, 여전히 자국의 아델이나 콜드플레이를 뛰어넘는 수입을 기록하고, 자기 브랜드를 런칭하며 존재감을 뽐낸다.

singer-songwriter

꽃인가 우주인가? 뮤지션 프랭키 코스모스

가녀린 목소리와 대비되는 무심한 창법. 단순하면서도 자유롭고 경쾌한 기타 사운드. 거대한 도시, 뉴욕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은 프랭키 코스모스의 음악을 소개한다.

singer-songwriter

여전히, 유재하를 사랑하기 때문에

사후 몇 십년이 지나도록 열렬히 회자되는 음악가는 많지 않다. 그래서 ‘유재하’는 중요하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그의 노래를 부르고 이야기한다. 시간이 지나도 영원히 변치 않을 유재하의 노래를 찬찬히 따라가보자.

singer-songwriter

자신의 히트곡에 암시된 조지 마이클의 라스트 크리스마스

이 시대 최고의 싱어송라이터이자 대표적인 LGBT 아티스트인 조지 마이클이 2년 전 크리스마스에 우리 곁을 떠났다. 그의 인생과 의미가 담긴 몇 곡을 추려 보았다.

singer-songwriter

앤디 워홀과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리더 루 리드의 협력은 왜 실패했나

앤디 워홀은 1964년 뉴욕에 ‘더팩토리’라는 아트 스튜디오를 짓고 벨벳 언더그라운드를 끌어들여 팝아트와 로큰롤의 접목을 시도했다.

singer-songwriter

밥 딜런의 노벨문학상 수상이 불렀던 때아닌 논쟁

물론 싱어송라이터로서 밥 딜런이 이룩한 업적에 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논쟁의 핵심은 ‘작사(Songwriting)’가 ‘문학(Literary)’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느냐다.

album release

좋은 음악은 계속 탄생한다

가을에 어울리는 음악, 이라고 썼다가 지웠다. 사실 좋은 음악은 언제 들어도 좋으니까. 탄탄한 실력과 독자적인 개성을 갖춘 뮤지션들의 9월 국내 신보를 꼽았다.

singer-songwriter

인디 싱어송라이터의 가사들 ‘이별 후에 쓰는 일기’

유독 와 닿는 시적인 가사, 그 뒤에는 ‘싱어송라이터’가 있다. 이별 후에 들어야 한다는 음악이 있다면 바로 이 노래들일 것이다. 특별한 가사로 마음을 위로해주는 음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