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근하고 편안한 음악은 누구나 거부하기 힘든 큰 힘이 있다. 포크의 감성은 여전히 전세대를 아우르는 힘이 있기도 하다. “그래서 계속 포크를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얼마 전 데뷔 10주년을 맞은 김사월의 새 노래와 앞으로 나올 앨범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사뮈가 새 EP <가을은 흐릿한 오후>로 돌아왔다. 앞서 정규 앨범을 발매하기까지 3년 반의 시간이 걸렸던 그는 이후 이번 EP를 발매하기까지 마찬가지로 3년 반이 흘렀다. 앨범 제목만큼 흐릿한 가을날 사뮈를 만나, 다양한 주제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나눴다.
대중음악 분야에는 창작자들의 애를 태우는 ‘슬리퍼 히트’곡들이 있다. 길게는 몇 년이 지나서야 진가를 인정받아 흥행에 성공한 슬리퍼 히트곡 중 장르의 클래식 반열에 오른 다섯 곡을 뽑았다.
구남과여라이딩스텔라의 조웅이 솔로 앨범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은 몇 년 전부터 들려왔다. 그 사이 데모곡이 두 차례 사운드클라우드에 공개되기도 했다. 기다림과 궁금증 끝에 최근 공개한 <슬로우모션>은 기대한 것 이상으로 흥미로운 요소가 많은 앨범이었다. 그의 작업실에서 앨범 발매에 관한 이야기를 직접 들었다.
우리가 지금 목도하고 있는 건 완벽한 비행을 위한 한로로의 ‘에튀드’일지도 모른다. 함께 커피를 마시고, 눈을 빛내며 자신의 음악을 이야기하는 한로로는 자신의 몸을 부셔가며 조각조각 반짝이는 윤슬처럼 온전한 형태의 완성된 아름다움은 아니지만 불확실하고도 불안하지만 영원히 소모되지 않을 청춘 그 자체였다.
그의 이름은 브라질 문화를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한다. 브라질의 군부 독재 시절,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이 금지되었으며, 장편소설 <부다페스트>를 쓴 작가로도 유명하다.
음악 차트에 한 번도 이름을 올린 적 없는 무명의 컨트리 싱어송라이터의 노래가 첫 주에 빌보드 톱에 오르면서 단박에 화제로 부상했다. 전무후무한 기록의 주인공에 대해 알아보았다.
데뷔 20년을 맞은 그가 친한 동료 뮤지션을 초청하여 잡담을 나누고 즉흥적인 듀오 음악을 선보였다. 초청을 받은 뮤지션들이 누구이며 어떤 음악을 하는지 궁금해졌다.
언뜻 모진 말 같아도 그 한 마디가 따뜻하게 다가오는 사람이 있다. 일상의 언어가 왠지 시의 한 구절처럼 다가오는 이가 있다. 숲을 걷다 보면 나무가 보인다. 나무를 바라보면 자연히 숲을 헤아리게 된다. 숲 속의 커다란 나무가 되고자 했지만 어느새 숲이 되어버린 최유리의 음악과 무대를 만나본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덕후다. 동시에 우리는 덕후라는 이름이 특별하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다. 덕콘은 2021년부터 팬 초청 무료 소규모 콘서트로 매월 만들어지고 있다. 지난 여러 덕콘 가운데 몇 가지 무대와 아티스트 인터뷰를 인디포스트를 통해 소개한다. 오늘은 허회경과 최정윤의 무대다.
여기 최근 발매한 듀오 신곡들이 있다. 두 사람이 만난 계기와 조합, 장르와 감성은 조금씩 다르지만, 이 계절과 어울리는 소박한 서정과 온기는 매한가지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덕후다. 동시에 우리는 덕후라는 이름이 특별하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다. 덕콘은 2021년부터 팬 초청 무료 소규모 콘서트로 매월 만들어지고 있다. 지난 여러 덕콘 가운데 몇 가지 무대와 아티스트 인터뷰를 인디포스트를 통해 소개한다. 오늘은 한로로와 신인류의 무대다.
중세 800년 동안 영국의 식민지였고 근세에는 감자 대기근으로 수백만 인구가 목숨을 잃거나 신대륙으로 건너간 아일랜드에는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많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덕후다. 동시에 우리는 덕후라는 이름이 특별하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다. 덕콘은 2021년부터 팬 초청 무료 소규모 콘서트로 매월 만들어지고 있다. 지난 여러 덕콘 가운데 몇 가지 무대와 아티스트 인터뷰를 인디포스트를 통해 소개한다. 오늘은 노리플라이와 제이유나의 무대다.
맑고 청아한 목소리로 ‘Close To You’을 불렀던 카렌 카펜터를 연상케 한다며 영국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던 싱어송라이터 ‘루머’. 파키스탄에서 유래한 그의 가족사 역시 화제를 모았다.
이승윤의 음악은 독립적이고 낯설다. 그의 노래는 섬세한 치밀함보다는 한 곡 한 곡 살아 날뛰는 날것 같은 생명력이 파동친다. 새 앨범 속 자신의 꿈의 서사를 은유로 품은 가사들은 그가 얼마나 엽렵하고 탁월한 아티스트인지를 증명한다.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덕후다. 동시에 우리는 덕후라는 이름이 특별하지 않은 시대에 살고 있다. 덕콘은 2021년부터 팬 초청 무료 소규모 콘서트로 매월 만들어지고 있다. 지난 여러 덕콘 가운데 몇 가지 무대와 아티스트 인터뷰를 인디포스트를 통해 소개한다. 오늘은 김수영, SURL, LUCY 그리고 윤석철 트리오의 무대다.
한국대중음악상의 이름은 단지 상대적인 대중성이나 인기를 의식한 용어가 아닌, 그 음악이 유명하든 하지 않든 누구에게나 닿을 수 있다는 절대적인 접근성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인디포스트는 2018년부터 꾸준히 한국대중음악상 후보 밖 올해의 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올해는 특별히 외부 필자들이 함께 참여한 인디포스트의 선정 리스트를 이틀에 걸쳐 공개한다. 오늘은 포크, 블랙뮤직, 글로벌 컨템포러리 부문을 다룬다.
한국대중음악상의 이름은 단지 상대적인 대중성이나 인기를 의식한 용어가 아닌, 그 음악이 유명하든 하지 않든 누구에게나 닿을 수 있다는 절대적인 접근성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인디포스트는 2018년부터 꾸준히 한국대중음악상 후보 밖 올해의 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올해는 특별히 외부 필자들이 함께 참여한 인디포스트의 선정 리스트를 이틀에 걸쳐 공개한다. 오늘은 록, 팝, 일렉트로닉 부문을 다룬다.
두 사람은 부부이거나 연인 관계라는 오해를 사기도 하지만, 50여 년 전 각자의 앨범에 수록하여 둘 다 그래미를 수상한 ‘You’ve Got a Friend’가 상징하듯, 끈끈한 우정으로 맺어진 동료 관계다.
악틱 몽키즈, 캣 파워, 존 홉킨스, 애니멀 콜렉티브. 사뭇 다른 음악 스타일을 지닌 이 위대한 아티스트들의 공통점이 있다. 현재 같은 레코드 회사를 통해 음악을 발표하고 있다는 것. 이들은 아티스트가 원치 않는 언론 홍보나 마케팅에 시간을 뺏기는 대신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도왔고 팬들을 믿었다.
우리는 1990년대, 세기말의 홍콩을 모르지만 잘 안다. 수많은 영화와 영상, 매체를 통해 화려함과 서글픔, 낭만과 허무가 함께 존재하는 그 시절의 감성에 흠뻑 취한다. 강렬하면서도 몽환적인 적색과 청색, 녹색이 한 화면에 어우러지는 가운데 테이블 한구석에서 윤지영은 사랑의 끝을 노래한다. 마치 그 시절의 영화 속 한 장면처럼.
GIMA는 여러모로 우리나라의 한국대중음악상을 연상하게 한다. 대중성이나 상업성보다는 창작을 핵심으로 삼아 오롯이 독창적인 음악에 대해 시상함으로써 대만 국내는 물론 아시아에서 꾸준히 지지를 얻고 있다.
나이 서른의 전성기에 불의의 교통사고로 생을 마감한 그는 최초의 아이돌 스타라 할 수 있다. 지금도 그를 기억하고 추모하는 수많은 팬들에게 둘러싸인 전설로 남았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