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최근 인터넷에 올라온 단편 호러 중 가장 무섭다고 알려지며 200만 조회수를 훌쩍 넘어섰다. 이제 거칠게 흩어져 있는 호러 요소들을 연결하여 장편 영화로 제작할 일만 남았다.
어두운 흑백 화면에 범죄와 타락의 세계를 담아 70여 년 전에 황금기를 맞았던 필름 누아르. 당시 영상 기법과 스타일에 대한 향수를 살린 단편 패러디 영화들이 지금도 제작되고 있다.
유쾌하고 친절한 장기 투숙객에게 이성의 매력을 느끼지만 그가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하우스키퍼. 그는 색다른 방법으로 바람둥이 남자에게 대가를 치르게 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영화를 만들어 내는 웨스 앤더슨 감독의 기법이 최근 A.I.의 패러디 대상으로 활용되고 있다. 논란을 불러온 패러디 작품들을 살펴보았다.
종합병원의 중환자실에 죽음을 앞둔 환자와 이들을 어떻게 보살펴야 할지 고민하는 의사가 있다. 이 순간을 담담하게 지켜보고 기록한 두 편의 단편 다큐멘터리 모두 오스카상 후보에 올랐다.
한 학생이 그린 <신의 초상화>. 그림에서 어떤 이는 신의 모습을 보고, 어떤 이는 아무 것도 보지 못한다. 무서운 장면 하나 없이 오싹한, 영리한 소재의 단편 호러를 감상해보자.
아카데미 수상작 <Music by Prudence>는 짐바브웨의 장애인 밴드 ‘리야나’의 소녀 ‘프루던스 마베나’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시상식의 해프닝 장면을 낳은 당시 상황을 알아보았다.
혼자 살아가는 주인공에게 인디 음악 ‘A Single Life’ 음반이 배달된다. 음반의 트랙을 변경하면 인생의 다른 시점으로 타임 슬립되는 것을 알게 된 주인공에게 무슨 일이 벌어질까?
우리 몸을 구성하는 장기들이 괴롭다는 설정이다. 바다에서 놀고 싶은 심장과 회사에 나가서 일을 해야 한다는 뇌가 다투기도 하고, 칼로리 높은 음식과 지나친 흡연 때문에 괴롭기도 하다.
디즈니 채널의 아역배우로 유명한 딜런 스프라우스가 오랜만에 스크린에 복귀해 화려한 드레스의 여장으로 화제가 되었다. 베테랑 배우들과 함께 찍은, 울림 있는 단편 <Daddy>를 감상해보자.
TV에서 사라진 스케치 코미디가 이제 온라인으로 자리를 옮겼다. 불과 수년 전 유튜브에 신설 채널로 등록한 코미디 채널들이 이제 상당수 구독자 100만 명을 훌쩍 넘어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지루한 일상을 반복하는 그에게 누군가 실마리를 담은 메시지를 보낸다. 실마리를 따라 끝까지 간 주인공이 발견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미국에서 배우를 꿈꾸는 네덜란드 감독의 작품이다.
백화점의 피팅룸이나 주택가의 보행터널, 그리고 고층빌딩의 엘리베이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공간이지만, 이곳도 기이하고 무시무시한 도시 괴담의 현장으로 변할 수 있다.
자신을 괴롭히는 친구들이 죽게 내버려 둘 것인가. 아니면 살인자에 맞서 그들을 구할 인가? 십대 소녀 ‘사라’의 딜레마에서 시작된 이 작품은 고야 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면서 장편 슬래셔 영화로 제작되었다.
올해 10월 개봉한 호러 영화 <스마일>의 바탕이 된 단편 영화가 뒤늦게 공개되었다. 파커 핀 감독의 오리지널 단편은 개봉 영화와는 달리 트라우마 환자가 꾸는 악몽에 중점을 두었다.
유튜브의 이 영상 밑에 달린 수많은 댓글에 ‘놀랍다’라는 반응 일색이다. 무려 100여 년 전 만든 단편영화인데, 쇠를 먹어 치우는 새를 묘사한 스톱모션 영상이 놀랍도록 잘 만들었다.
이 애니메이션을 본 어떤 평론가는 “치과 가는 것보다 더 무섭다”고 평가했다. 그 내용은 이빨에 관한 것인데, 생경한 그림체나 내레이터의 음울한 목소리, 그리고 불편한 음향 효과도 소름이 끼친다.
서로에게 일절 관심 없는 분주한 생이 오고 가는 대도시. 주인공은 오늘도 터덜터덜 회사를 나와 마트에 들러 갖가지 식료품을 산 뒤 집을 향한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한다. 오는 길에 그만 한 치의 실수로 계란과 우유, 밀가루 등을 길에 쏟고 만 것. 애처롭게 길바닥을 뒹구는 계란 노른자 덩어리가 Ronin의 마음을 심란하게 한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10분이 넘는 노래로 리메이크한 ‘All Too Well’을 그가 직접 각색하고 감독한 단편 영화로 제작하였다. 어린 시절에 겪었던 배우 제이크 질렌할과의 아픈 사랑을 그렸다.
한적한 교외를 돌아다니며 게임을 즐기던 두 소년이 곧 냉혹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보며, 영화 제목을 왜 <야수>라 붙였는지 알게 된다. 2019년 아카데미상 단편영화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이다.
유령 도시가 된 가까운 미래의 로스앤젤레스. 기계공 아버지와 함께하는 서민 출신의 주인공이 엘리트 레이서들과 비행 레이스를 펼친다. 영웅 서사와 스포츠 서사, 순간적인 스펙타클이 교차하며 작품의 몰입감을 높인다.
신체의 변형을 영화의 주요 소재로 하여 바디 호러 장르를 개척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이 자신의 주검을 마주하였다. 1분도 되지 않는 짧은 영상에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았다.
손거울을 만지작거리는 아프리카계 남성, 머리 위에 짊어진 무거운 왕관, 그런 그가 꽃을 들고 자전거를 탄 채 진정한 사랑을 찾아 떠나는 여정. 어릴 적 봤던 익숙한 동화의 한 장면 같지만, 이를 비튼 조금씩 낯선 소재와 이미지들이 화면과 이야기를 지배한다.
자신들은 런치 레이디가 아니라 셰프라 강변하는 자매의 좌충우돌 복수극을 그린 B급 호러 영화. 다른 여섯 편과 함께 <Hellarious>라는 앤솔러지 제목으로 영화관에서 상영되었던 수작이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