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는 최근 인터넷에 올라온 단편 호러 중 가장 무섭다고 알려지며 200만 조회수를 훌쩍 넘어섰다. 이제 거칠게 흩어져 있는 호러 요소들을 연결하여 장편 영화로 제작할 일만 남았다.
어두운 흑백 화면에 범죄와 타락의 세계를 담아 70여 년 전에 황금기를 맞았던 필름 누아르. 당시 영상 기법과 스타일에 대한 향수를 살린 단편 패러디 영화들이 지금도 제작되고 있다.
유쾌하고 친절한 장기 투숙객에게 이성의 매력을 느끼지만 그가 바람을 피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하우스키퍼. 그는 색다른 방법으로 바람둥이 남자에게 대가를 치르게 한다.
한 학생이 그린 <신의 초상화>. 그림에서 어떤 이는 신의 모습을 보고, 어떤 이는 아무 것도 보지 못한다. 무서운 장면 하나 없이 오싹한, 영리한 소재의 단편 호러를 감상해보자.
아카데미 수상작 <Music by Prudence>는 짐바브웨의 장애인 밴드 ‘리야나’의 소녀 ‘프루던스 마베나’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시상식의 해프닝 장면을 낳은 당시 상황을 알아보았다.
우리 몸을 구성하는 장기들이 괴롭다는 설정이다. 바다에서 놀고 싶은 심장과 회사에 나가서 일을 해야 한다는 뇌가 다투기도 하고, 칼로리 높은 음식과 지나친 흡연 때문에 괴롭기도 하다.
디즈니 채널의 아역배우로 유명한 딜런 스프라우스가 오랜만에 스크린에 복귀해 화려한 드레스의 여장으로 화제가 되었다. 베테랑 배우들과 함께 찍은, 울림 있는 단편 <Daddy>를 감상해보자.
지루한 일상을 반복하는 그에게 누군가 실마리를 담은 메시지를 보낸다. 실마리를 따라 끝까지 간 주인공이 발견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미국에서 배우를 꿈꾸는 네덜란드 감독의 작품이다.
백화점의 피팅룸이나 주택가의 보행터널, 그리고 고층빌딩의 엘리베이터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공간이지만, 이곳도 기이하고 무시무시한 도시 괴담의 현장으로 변할 수 있다.
유튜브의 이 영상 밑에 달린 수많은 댓글에 ‘놀랍다’라는 반응 일색이다. 무려 100여 년 전 만든 단편영화인데, 쇠를 먹어 치우는 새를 묘사한 스톱모션 영상이 놀랍도록 잘 만들었다.
서로에게 일절 관심 없는 분주한 생이 오고 가는 대도시. 주인공은 오늘도 터덜터덜 회사를 나와 마트에 들러 갖가지 식료품을 산 뒤 집을 향한다. 문제는 이때부터 시작한다. 오는 길에 그만 한 치의 실수로 계란과 우유, 밀가루 등을 길에 쏟고 만 것. 애처롭게 길바닥을 뒹구는 계란 노른자 덩어리가 Ronin의 마음을 심란하게 한다.
테일러 스위프트가 10분이 넘는 노래로 리메이크한 ‘All Too Well’을 그가 직접 각색하고 감독한 단편 영화로 제작하였다. 어린 시절에 겪었던 배우 제이크 질렌할과의 아픈 사랑을 그렸다.
한적한 교외를 돌아다니며 게임을 즐기던 두 소년이 곧 냉혹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는 것을 보며, 영화 제목을 왜 <야수>라 붙였는지 알게 된다. 2019년 아카데미상 단편영화 최종 후보에 오른 작품이다.
신체의 변형을 영화의 주요 소재로 하여 바디 호러 장르를 개척한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이 자신의 주검을 마주하였다. 1분도 되지 않는 짧은 영상에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았다.
손거울을 만지작거리는 아프리카계 남성, 머리 위에 짊어진 무거운 왕관, 그런 그가 꽃을 들고 자전거를 탄 채 진정한 사랑을 찾아 떠나는 여정. 어릴 적 봤던 익숙한 동화의 한 장면 같지만, 이를 비튼 조금씩 낯선 소재와 이미지들이 화면과 이야기를 지배한다.
자신들은 런치 레이디가 아니라 셰프라 강변하는 자매의 좌충우돌 복수극을 그린 B급 호러 영화. 다른 여섯 편과 함께 <Hellarious>라는 앤솔러지 제목으로 영화관에서 상영되었던 수작이다.
2015년 보수당의 캐머런 총리가 승리하고 브렉시트(Brexit)가 통과되면서 영국이 보수화되었다. 영국 배우 리즈 아메드가 자신의 두 번째 앨범과 동명의 단편영화를 통해 이를 경고하고 나섰다.
거울은 공포 영화에서 중요하게 활용하는 소재 중 하나다. 최근 유튜브에 소개된 단편 호러 <발레리나> 역시 거울을 활용해 완벽주의에 사로잡힌 발레리나를 그렸다.
어느 날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며 픽셀과 버그로 가득 찬 거짓 세상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호주에서 영화를 배운 스웨덴 신예 감독의 작품이다.
나치 치하 독일의 비극적 시대상을 잔잔하게 그린 단편영화로, 2009년 아카데미 최우수 단편영화상을 수상하였다. 동독 출신의 베를린 영화계를 대표하는 프레이당크 감독 작품이다.
가파른 절벽 가운데 기묘한 굴곡 지점에 기댄 채 눈을 뜬 공포는 10분 동안 관객에게 그대로 전해진다. 이 기발한 공포 콘셉트는 그 해 많은 영화제에서 수상했고, 이제 장편 영화로 나오게 될지도 모른다.
인간과 흡사하지만 강력한 신체를 가진 소녀 A.I.가 사랑을 알게 되고 질투와 복수를 생각한다면 얼마나 위험할까? 멕시코에서 제작된 단편 SF <The Promise>가 그 위험성을 경고한다.
욕실 거울 앞에 선 두 사람. 칫솔에 치약을 묻혀 나란히 양치질하려고 하나 싶었는데 왠지 한 사람은 칫솔을 손에 쥐기만 한 채 가만히 멈춰 있다. 알고 보니 그에게는 옆 사람처럼 양치를 위한 치아도, 입도, 머리도 없다.
<카우보이 비밥>의 열성 팬들이 고대하던 실사판 드라마의 촬영이 종료된 올해 3월, 이 드라마가 과연 어떤 느낌으로 다가올지 전해주는 전문가 수준의 팬메이드 단편 영상 한 편이 올라왔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