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차를 기다리는 할머니. 어렵게 사온 과자 한 봉지를 꺼내 먹으려는 찰나, 옆에 앉은 젊은이가 하나씩 가져간다. 마지막 남은 과자 하나를 지키기 위해서는 전쟁뿐이다. 하지만 마지막에는 생각지도 않은 유쾌한 반전이 기다리고 있다.
플로리다의 안내견 양성학교가 기부 캠페인 홍보를 위해 4분 길이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 지난 10월에 올라온 이 작품은 3개월 만에 4천 2백만 조회수를 넘어서며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어머니는 급히 아기를 안고, 아버지는 짐을 챙긴다. 범죄조직을 떠나 도시를 탈출하려는 아버지와 그의 가족을 조직원들이 바짝 뒤쫓는다.
마음에 꿈을 처음 품었던 순간을 기억하는가? 꿈은 우리에게 힘을 주기도 하고, 때로 우리를 좌절하게도 하지만, 꿈에 부푸는 순간만큼은 언제나 같은 설렘이 있다. 디즈니 출신 두 감독이 모두의 꿈을 응원하는 메시지 <One Small Step>을 보자.
모래사장 위의 백사장. 그리고 그 위에 정교하게 만들어진 모래성은 어릴 적 누구나 갖고 있었을 법한 향수의 대상이다. 프랑스 아트스쿨 ESMA의 학생 다섯 명이 이를 정교한 애니메이션으로 구현했다.
대형 애니메이션 부럽지 않은 화사한 그래픽, 단편 애니메이션만이 전할 수 있는 간결하지만 확실한 감동. 단편 애니메이션 <Butterflies>는 익숙하지만 전혀 뻔하지 않게 사랑에 빠진 순간의 설렘과 불안을 귀여운 상상력으로 묘사한다.
헨젤과 그레텔의 동화처럼, 이 흑백 애니메이션에서 살인마는 아이스크림으로 두 아이를 유혹한다. 만약 흑백이 아닌 컬러였다면 붉은 핏빛으로 난무했을 것 같은 이 강렬한 작품을 보고, 픽사는 칼아츠 1학년 학생을 스카우트하기에 이른다.
독일 애니메이터 Gottfried Mentor의 단편 애니메이션 <Oh, Sheep!>는 밝고 경쾌한 코미디로 시작하는 듯하다가, 이내 피 튀기는 참극으로 변한다. 인종, 종교, 지역의 차이를 참지 못하고 끊임없이 살육을 벌이는 인류를 경고한다.
칼아츠 아트스쿨(CalArts)에 다니는 대만 일러스트레이터 크리스탈 쿵은 정감 넘치는 캐릭터를 창조해내는 아티스트다. 국내무대에서 호평을 받은 <Shadow>에 이어, 올해 온라인에 발표한 <Red String> 또한 빠르게 퍼지고 있다.
매일 똑같은 시간대, 똑같은 버스에 타는 남녀가 있다. 남자는 여자를 짝사랑하지만 숫기가 없어 말 한마디 건네지 못한다. 그런 남자의 행동은 어리숙해서 더 귀엽고 애틋한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순애보 남자의 짝사랑은 어떤 결말을 맺을까.
그의 일상은 단조롭게 흐른다. 크게 슬픈 일도 없지만 별스럽게 웃을 일도 없다. 그러다 그는 우연한 계기로, 어린 시절 좋아했던 애니메이션 속 영웅 ‘갤럭시 걸’을 떠올린다. 추억에 잠긴 그는 어떤 순간을 맞이할까.
두 소년이 물속에서 만난다. 물 밖의 소년과 물 안의 소년 모두 오래도록 외로웠고, 그래서 둘에게는 이 뜻밖의 만남이 반갑다.
할리우드 CG 전문가 출신인 후버 교수가 학생들과 함께 제작한 단편 애니메이션 <Worlds Apart>에는 테디베어 인형이 등장한다. 오랜 세월을 머금은 테디버어는 오래전 멸망한 지구 소년과 먼 미래의 외계 소년을 이어준다.
과일 키위가 아니라, 뉴질랜드의 멸종 위기 새 키위 이야기다. 날고 싶다는 꿈을 이루려고 절벽에서 뛰어내리는 키위의 눈물이 온라인을 감동하게 했다. 2006년 유튜브 상을 받았고 4천만 조회수를 뛰어넘은 화제작이다.
수많은 마니아를 지닌 애니메이션 <릭 앤 모티>는 하드코어에 가깝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강렬한 개성을 자랑한다. 그러나 지난 추수감사절을 기념해 만든 특별 영상 <The Poop in My Pants>는 좀 다르다. 만약 당신이 <릭 앤 모티>의 팬이 아닐지라도, 이 영상을 보면 코끝이 찡해질 거다.
소녀는 직접 만든 비행기를 날리고 싶지만 번번이 실패한다. 좌절하는 소녀 앞에 나타난 정체 모를 꼬마 비행사. 두 사람이 힘을 합하면 정말 날 수 있을까? 제42회 스튜던트 아카데미 어워드에서 금상을 받은 작품 <SOAR>를 소개한다.
황폐한 행성에서 광석을 캐는 두 로봇이 만나면서 시작되는 이야기. 언뜻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월 E>를 떠올리게 하는 이 단편 애니메이션은, 영국 아카데미상 결선에 올랐으며 온라인에서 천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한 화제작이다.
46년의 길지 않은 생에 여섯 편의 장편을 선보이며 세계적인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남은 그는, 일생에 단 한 편의 단편을 제작하였다. 현실과 환상의 경계, 그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현대인의 모습을 1분의 러닝타임에 집약한 단편 애니메이션 <Ohayo>를 감상하자.
픽사는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로 변신한 1980년대 중반부터 매년 단편을 발표하여 2017년 <Piper>까지 총 네 번의 오스카를 수상했는데, 그중 최고라고 평가받는 작품이 <For the Birds>다. 남녀노소 불문하고 모든 관객을 포복절도하게 만드는 짓궂은 참새들을 만나보자.
뚱뚱한 몸매의 여자가 조금 특이한 슬리밍 치료에 참가한다. 치료를 마치고 남편 앞에 모습을 드러낸 여자는 과연 얼마큼 예뻐졌을까? 매끄러운 그림체와 독특한 설정으로 유튜브에서 4천만 조회수를 기록한 프랑스 단편 애니메이션 <슬림타임>이 보여주는 비포 앤 애프터를 직접 확인해보자.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유쾌한 경험은 아니다. 뉴욕의 여성 애니메이터가 제작한 <Sidewalk>은 자신의 경험을 투영하여 여자의 일생을 멋진 재즈 음악과 함께 유쾌하게 보여 준다.
보이지 않는 것을 얼마큼 상상할 수 있을까? 대만의 애니메이터들이 만든 이 작품은 시각장애를 지닌 꼬마의 상상력에 관해 이야기한다. 파스텔톤으로 물든 아름답고 따뜻한 상상의 동화는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모두에게 새로운 시각을 선물한다.
이 작품은 각종 영화제에서 59개의 상을 받았으며 온라인에서 무려 1억 5,000만 뷰를 기록했다. 덕분에 두 사람의 제작자 두 사람은 디즈니와 픽사에 입사하였다. 어떤 작품을 만들었길래 세계 영화제와 대형 애니메이션 사의 주목을 받았는지 확인해보자.
대만 애니메이션 <아이스 캔디>는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 보내고 홀로 남겨진 슬픔을 거창한 위로의 말이 아닌, 어린 시절의 행복하고 의젓한 추억 한 조각으로 달랜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