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800년 동안 영국의 식민지였고 근세에는 감자 대기근으로 수백만 인구가 목숨을 잃거나 신대륙으로 건너간 아일랜드에는 사회적 메시지를 담아내는 세계적인 뮤지션들이 많다.
맑고 청아한 목소리로 ‘Close To You’을 불렀던 카렌 카펜터를 연상케 한다며 영국 언론에 대서특필되었던 싱어송라이터 ‘루머’. 파키스탄에서 유래한 그의 가족사 역시 화제를 모았다.
스타와 정치인의 초상화를 찍는 초상사진작가인 그는 본격적으로 커리어를 시작하고 30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브래드 피트나 커트 코베인부터 달라이 라마, 버락 오바마 등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유명인, 예술가, 정치인, 종교 지도자의 상징적인 순간을 카메라로 담았다.
MTV의 뮤직 비디오 붐을 타고 무명의 노르웨이 3인조 밴드의 데뷔곡 ‘Take On Me’가 세계 36개국에서 톱에 올랐다. 넷플릭스 다큐멘터리에도 소개된 이들의 스타 탄생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시금 생명의 움직임이 움튼 한해였다. 아티스트와 팬들이 다시 공연장에서 만나게 되었고, 여러 음악가들이 컴백하며 들을 거리도 많았던 일 년이었다. 5가지의 키워드로 올해 해외 음악 신에서 벌어진 일들을 되짚어보자.
오디오 자체로도 ‘별거’지만, 이들의 음악을 보다 완전히 음미하고 싶다면 ‘시청해야’ 한다. 대개 본인들이 기획 단계부터 참여하고 때로 연출이나 편집까지 맡기도 하는 뮤직비디오 이야기다. 중심이 되는 것은 두 댄서와 함께 세 멤버가 직접 수행하는 특유의 몸짓. 이 ‘하프얼라이브 무브’를 비롯한 모든 요소가 음악과 결합되어 하나의 복합 예술을 이룬다.
<NME>는 1952년 창간한 영국의 음악 잡지다. 원래는 신문 음악 칼럼으로 시작해 1980년대에 잡지로 거듭났다. 올해 70주년을 맞이한 매거진은 더는 종이 간행물을 발행하지 않지만, 매주 발행하던 매거진 커버 속엔 상징적인 음악적 사건들이 담겨있다.
60여 년 록 역사에 시대의 아이콘으로 남은 대표적인 콘서트들이 있다. 그 현장에 없었다 하더라도, VHS에서 DVD로, 이제는 스트리밍으로 감상할 수 있는 전설의 무대를 알아보았다.
‘What’s in my bag?’은 음악 관련 콘텐츠는 넘치지만 음반에 관한 콘텐츠는 점점 사라지고 있는 최근, 몇 안 남은 음반 전문 소개 콘텐츠다. 주로 뮤지션들이 자신이 영향을 받은 음반들을 소개하고, 영화배우, 코미디언 등 다양한 분야 스타들이 매 시즌 깜짝 등장한다.
각종 청춘물이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90년대생을 이해하고자 그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2000년대생이다. 지금도 성장 중인 어린 음악가들은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을까?
어떻게 지내냐는 안부 인사에 대답 대신 어떤 노래를 들어보라고 할 수는 없을까? 내 얽히고설킨 속마음을 대신 말해줄 수 있는 노래로. 주변인들에게 물어서 각자의 안부를 담은 음악을 몇 곡 받아왔다.
이들은 음악의 재료를 명상이나 성스러운 소리, 아프리카의 음악에서 빌려왔다. 우리는 이런 음악에 ‘스피리츄얼스’라는 이름표를 붙인다.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영적이고 정신적인 영역을 다룬다. 스피리츄얼스가 현재 여러 음악가에 의해 새로운 소리로 재발명되고 있다.
뉴욕의 재즈 피아니스트 스콧 브래들리를 중심으로 100명가량의 뮤지션들이 함께 하는 ‘포스트모던 주크박스’(PMJ)는 인기 팝송을 1920년대 재즈와 스윙 음악으로 재탄생하여 인기를 누리고 있다.
좋은 음악은 귀로 한 번, 그리고 눈으로 또 한 번 머릿속에 각인된다. 특히 뮤지션의 색깔과 음악의 분위기가 커버 이미지와 딱 맞아떨어질 때 우리는 명반을 만날 확률이 높다. 눈으로 기억하고 싶은 올해의 앨범 7장을 소개하고자 한다.
어느 때보다 우린 집에서 오랜 시간 머물렀고, 그동안 많은 것이 바뀌었다. 그래미 시상식은 2022년부터 NFT를 도입한다고 밝혔고, 뮤지션 그라임스는 NFT 디지털 아트로 20분만에 65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고 한다. 지금도 NFT 거래량은 무섭게 증가하고 있다.
안야 테일러 조이의 새 영화 <라스트 나잇 인 소호>. 1960년대 런던의 번화가 소호(Soho)를 배경으로, 비틀스 시대 이전의 런던 힙스터들이 즐겨 듣던 팝 음악이 흘러나온다.
쌉쌀함 끝에 남는 단맛으로 자꾸 꺼내게 되는 한 잔의 생강차 같은, 재주를 달이고 달여서 위트 있게 꺼내어 놓는 진저루트의 음악 세계.
폴리캣의 신스팝은 우리를 1980년대로 보내지만 과거에 가두지 않는다. 오히려 가장 부지런히 나아간다. 뉴트로 세대에서 가장 영리하고 우아하게, 부드럽지만 강렬한 질주를 하고 있는 태국의 인디밴드다.
영국 싱어송라이터 크리스 디 버그의 히트곡 ‘The Lady in Red’는 부드러운 발라드로 결혼식의 댄스 반주곡으로 사랑받았으나, 동시에 사람들의 미움을 받은 곡이기도 했다. 그 배경에 대해 알아보았다.
숫자로는 계산되지 않는 ‘1+1’의 힘은 분명 존재한다. 혼자 고군분투하던 음악가 두 명이 만나 그룹을 꾸린 뮤지션들이 있다. 두 사람의 세계가 만나 계속해서 듣고만 싶은 음악이 탄생했다.
콜드플레이 은하계에 방탄소년단이라는 행성이 떴다. 프로모션 싱글로 공개 이후 각국 차트를 갈아치우고 있는 두 팀의 컬래버레이션 곡 'My Universe'는 콜드플레이의 9집 <MUSIC OF THE SPHERES>에 수록했다.
누군가는 아바(Abba)의 나라로 기억할지도, 또는 아비치(Avicii)의 나라로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살아 숨 쉬는 스웨덴 음악 신은 현재 의외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알고 들어보자. 아는 만큼 들릴 것이다.
올해 8월에 생을 마감한 롤링 스톤스 드러머 찰리 와츠. 밴드 동료들이 머디 워터스 같은 블루스 스타의 영향을 받은 반면, 그는 찰리 파커와 치코 해밀턴을 더 좋아했던 재즈 애호가였다.
‘다이너마이트’의 성공에는 이전과 다른 공식들이 엿보였는데, 오늘은 이 변화를 이끈 인물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차트 성공을 기가 막히게 알아차리는 ‘탑백귀’라는 게 팝 음악계에도 존재한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