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음악이 있어야 장소가 완성된다고 믿는다면 이곳을 찾아보자. DJ의 셋이 흘러나오기도 혹은 준비된 믹스가 울려 퍼지는 다이닝 겸 펍이다.
콜드플레이가 2년만에 발표한 신곡 ‘Higher Power’의 뮤직비디오에 홀로그램 댄서들이 익숙한 춤사위를 선보였다. 이날치의 ‘범 내려온다’에서 독특한 댄스 동작을 보여준 앰비규어스 그들이다.
그는 블루스 감성을 지닌 실력파 피아니스트로 마일스 데이비스 퀸텟에서 빌 에반스를 대체했다. 하지만 뛰어난 즉흥연주 실력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이름보다 사이드맨 피아니스트로 명성을 떨쳤다.
이 곡은 1980년 작곡으로 마이클 잭슨이 어쿠스틱 스타일로 녹음했는데, 그가 사망한 후 완전히 새로운 댄스 스타일로 탈바꿈하여 차트에 등장했다. 저스틴 팀버레이크도 힘을 보탰다.
데뷔 9년차를 맞은 영국의 일렉트로닉 댄스 듀오 ‘Jungle’. 2013년 데뷔해 두 장의 앨범으로 75만 장을 판매하여 주목을 받았고, 올해 세 번째 앨범 <Loving in Stereo>을 준비 중이다.
미국의 싱어송라이터 잭슨 브라운은 다섯 번째 앨범을 독특한 콘셉트로 기획했다. 이 앨범은 모두 순회공연 도중에 녹음한 신곡으로 구성했고, 오랫동안 떠돌이 생활을 해야 하는 뮤지션의 애환을 담았다.
많은 음악가들이 그래미 어워드 수상을 두고 꿈이자 영예로운 일이라고 한다. 후보에만 올라도 ‘그래미 후보’라는 수식을 자랑스럽게 사용한다. 과연 이번 그래미 어워드 후보와 수상작 중 눈여겨볼 아티스트와 음악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언더그라운드 레이블 노바디노즈는 이름 그대로 ‘대중이 잘 모를 법한’, 그러나 막상 알고 보면 더할 나위 없이 멋진 아티스트들과 음악을 앞장서 소개하고 있다. 2019년 NET GALA에 이어 2020년에는 WONA였다. 온라인으로 그를 만났다.
데이빗 보위, 프린스, 마이클 잭슨의 이름만 들어도 떠오르는 이미지가 있다. 이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사진에 담은 작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아는가? 세 사람은 아무에게나 허락되지 않은 그 순간 그들과 함께였다.
지난해 R&B 슈퍼스타 두 사람의 첫 콜라보레이션 작품이 발표되었다. 이들의 프로젝트 밴드 ‘Silk Sonic’의 첫 싱글 ‘Leave the Door Open’의 뮤직비디오는 사흘 만에 조회 수 2,000만을 넘어설 정도로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마크 로마넥 감독은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 20회, 그래미를 3회 수상한 뮤직비디오 분야 최고 권위자로 평가된다. 그의 실험적인 접근과 과감하고 도발적인 영상은 때때로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저마다 다른 슬픔과 외로움을 늘 한결 같은 위로로 안아주는 이소라의 노래 앞에서 한 번쯤 묻게 된다. “가장 좋아하는 이소라의 노래는 무엇인가요?” 아니, 좀 더 정확하게는 “당신을 가장 잘 위로하는 이소라의 노래는 무엇인가요?”
록의 흥망성쇠와 상관없이 록을 ‘하는’ 여성과 록을 ‘즐기는’ 여성의 취향은 늘 극심한 소외와 배제의 폭력을 마주해야 했다. 전시 <Girls, Rock the Boys>는 배척과 대상화의 일상 속에서 힘겹게 록을 즐겼던 여성사의 한 페이지를 추적한다.
MTV VMA 6개 부문 후보에 오른 2003년 그해, 자니 캐시는 아내의 뒤를 따라 71년의 파란만장한 생을 마감했다. 명감독 마크 로마넥은 그의 일생을 4분의 영상에 담아 역사에 길이 넘을 뮤직비디오를 만들었다.
스트리밍 사이트를 뜨겁게 달구는 10대 싱어송라이터가 등장했다. 디즈니의 틴에이지 배우로 활동 중인 그가 대형 음반사 계약 후 내놓은 데뷔곡 ‘Driver License’는 전 세계에서 차트 톱을 달리고 있다.
좋은 건 나만 알고 싶은데 나도 모르게 새어나간다. 좋은 음악을 먼저 들은 이는 끓어오르는 마음을 견디지 못하고 주변에 알리고야 만다. 2020년 세상을 떠난 언더그라운드 래퍼 MF DOOM은 그렇게 전해졌다.
<엑스 마키나>는 SF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댄스 장면이 화제거리가 되었고 패러디와 ‘따라하기’의 대상이 되었다. 이 장면이 왜 화제가 되었는지, 그리고 댄스의 배경음악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칸노 요코와 <카우보이 비밥>. 이 둘 사이에 가수 마이 야마네가 있다. <카우보이 비밥>의 엔딩 타이틀 ‘The Real Folk Blues’에서 깊은 솔을 들려준 그는 1980년대 일본의 시티팝을 대표하는 가수 중 하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모든 것이 얼어붙었을 것만 같은 지난 한 해 동안에도 일상은 평소와 다름없이 흘러갔다. 공연과 무대가 사라지는 와중에도 묵묵히 땅을 일구고 자신의 음악을 피워낸 아티스트들의 일상도 그러하다. 어제 발표한 ‘2021 한국대중음악상’ 후보에 오르지 못해 아쉬운 올해의 음악들을 꼽아 봤다.
포크라노스는 ‘현재 가장 새롭고 신선한 음악들을 소개하는 뮤직 딜리버리 브랜드’다. 이번에는 코로나19 사태 속에 새삼 일상의 소중함을 느끼며 평범한 나날을 자신만의 생각과 감성으로 표현하는 네 명의 아티스트를 소개한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봉쇄 조치가 장기화하자 사회적 거리 두기의 일환으로 ‘집콕’이 일상화되고 있다. 그러자 40여 년 전 세계적인 디스코 열풍을 이끌던 대표곡 ‘Staying Alive’가 다시 소환되었다.
‘코로나가 없었다면’ 같은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문다. 뮤지션들도 이런 현실을 받아들이기 쉽지 않았을 것이다. 보장된 미래는 없다는 걸 깨닫고 자가격리 기간에 음악 작업에 몰두한 뮤지션들이 있다. 코로나가 없었더라면 이 보물 같은 앨범들도 존재하지 않았을 거란 사실은 아이러니다.
포크라노스는 ‘현재 가장 새롭고 신선한 음악들을 소개하는 뮤직 딜리버리 브랜드’다. 오늘은 급격하게 나빠지고 있는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집에만 있을 이들의 무료함을 조금이나마 덜어줄 신선한 매력의 다섯 팀을 소개한다.
뮤직비디오엔 반짝이는 의상과 미러볼, 빨강, 파랑, 노랑 등 원색 조명의 댄스 플로어를 중심으로 한 1970~80년대의 클럽 풍경이 재현된다. 춤추기 좋은 네 박자 비트에 전자 사운드를 곁들여 미래적인 느낌을 버무린 현대식 디스코다. 2020년, 뮤지션들이 과거를 재료 삼아 흥미로운 시도를 벌이는 가운데, 씁쓸하게 퇴장했던 디스코에 화려한 조명이 다시 비춘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