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모두에게 보호받아야 할 존재이지만, 때로는 아무도 그들을 보호해주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아이들은 너무 일찍 어른이 된다. 지금 소개할 3편의 영화는 오롯이 아이들의 시선에서, 그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에 관해 이야기한다.
넷플릭스 드라마 <러시안 인형처럼>의 중요한 설정은 ‘타임 루프’다. 이처럼 타임 루프를 제대로 활용한 작품들을 소개한다.
배우 마허샬라 알리는 섬세한 감정 연기로 주목받고 있다. 확실한 개성을 가진 그의 최근작들을 살펴보자.
두 영화는 분명히 다르다. 그러나 비슷한 포인트로 엮어볼 수도 있다. <리지>와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의 이모저모를 함께 짚었다.
영화의 시간은 영화 밖과 다르게 흐른다. 하지만 때때로 현실과 거의 같은 속도로 진행되는 영화 속 시간도 있다. 세 장면을 모아봤다. 관객이 주인공과 동일한 속도로 사건을 겪는 영화 속 순간들.
제목이 같은 영화를 찾는 건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서로 다른 분위기의 영화들이 같은 제목을 공유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제목을 비롯하여 묘하게 비슷한 점이 있지만, 분명히 다른 개성을 지닌 동명의 영화들을 살펴보자.
때때로 영화는 또렷한 결말을 보여주지 않는다. 드러나지 않은 귓속말을 통해, 쪽지에 적힌 미스터리한 문구를 통해 짙은 잔상을 남기는 영화 두 편을 만나보자.
80년 넘도록 착실히 꾸려온 인생, 그리고 그 삶으로 쓴 시(詩)를 비춘 영화들이 찾아왔다. 어떠한 수식도 이들의 삶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할 것이다. 인생의 주인이자 시인인 할머니들을 담은 영화 2편을 소개한다.
팬톤이 발표한 올해의 색은 ‘리빙 코랄(Living Coral)’. 황금빛과 주황이 오묘하게 뒤섞인 이 색은 낙천적인 에너지나 편안함처럼 긍정적인 감상을 안긴다. 이 색에 초점을 맞춰 영화를 들여다봤다. 일찍이 리빙 코랄 색감을 환상적으로 활용한 영화들을 소개한다.
시간과 감정을 열정적으로 쏟던 ‘고전’ 로맨스에 지친 요즘 세대들은 더이상 ‘소울메이트’를 운운하지 않는다. 대신 단순하고 즐겁게 연애하며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한다. 짐 자무쉬의 <패터슨>과 닐 암필드의 <캔디>는 현실 속 ‘고전’ 로맨스를 저 나름의 스타일로 보여준다. 영화 속 각기 다른 사랑의 온도를 느껴보자.
칠레가 전 세계 영화계의 주류였던 적은 없지만, 영화사에 인상적인 작품을 남긴 칠레 출신 감독들이 있다. 그중에서도 2000년대 이후 등장한 두 칠레 감독의 영화를 소개한다. 모두 ‘외로움’이라는 인간의 숙명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우리는 종종 청소년이 저지른 범죄의 책임을 그 부모에게 묻기도 한다. 범죄의 원인이 무엇이든 가해자의 부모에게는 제 몫의 책임이 무겁게 자리할 것이다. 그 입장에 서보게 하는 3편의 영화를 소개한다.
‘먹는다’는 본연의 감각을 일깨우는 영화들이 있다. 음식을 먹으며 자신의 실존을 확인하고, 상대와 온기를 나누는 모습을 영화 속 장면들을 통해 살펴보자.
여러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도시, 평양. 그러나 이곳 역시 여느 도시와 마찬가지로 하나로 정의될 수 없다. 그래서 서로 다른 사람들이 느낀 평양을 담은 영화와 뮤직비디오를 소개한다. 우리가 알던 평양과 모르던 평양 그사이 어딘가를 여행하는 흥미로운 경험이 될 것이다.
‘뱀파이어’는 영화감독들에게 꾸준히 사랑받아 온 소재다. 여러 작품을 통해 진화 중인 뱀파이어 캐릭터들을 보면, 이들의 영생은 영화 속에서도 유효하다. 2000년대 이후 등장한 매력적인 뱀파이어 영화들을 살펴보자.
아직은 낯선 북유럽 영화. 독특한 매력을 가진 북유럽 영화 중에서도, 아름다운 음악과 영상미가 돋보이는 작품 세 편을 소개한다.
영화 속 인물들은 차를 내려 마신다. 천천히 서두르지 않고, 정갈한 자세와 마음으로. 그 모습은 마치 일상과 삶을 대하는 태도처럼 느껴져 마음이 차분해진다. 영화 <일일시호일>과 <경주>에 담긴 차 이야기.
흔히 영화 속 주인공들은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대부분 누군가의 눈에 띄고, 넓은 세상으로 나가 꿈을 이룬다. 그러나 지금 소개할 영화는 좀 다르다. 재능을 날카롭게 바라보는 이 작품들은 회피하려 했던 현실을 돌아보게 만든다.
중세 시대의 낭만을 간직한 도시. 올리브 나무, 포도밭이 어우러진 넓은 들판이 있는 투스카니 지방은 이방인이라면 누구라도 머물고 싶어 하는 곳이다. 이곳의 풍광을 배경으로 촬영한 영화 네 편을 뽑았다.
백팩을 둘러메고 하루에 수십 마일을 홀로 걷는 도보여행을 다룬 영화들을 소개한다. 여행지의 아름다운 풍광은 덤이다.
은퇴 후 어떤 삶을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오늘날 비단 노인만의 문제가 아니다. 은퇴 적령기가 따로 없는 현재 우리 삶 속에서 모두가 생각해볼 질문이다.
따뜻한 실내에서 좋은 영화 한 편 보고 싶은 계절이다. 마음에 썩 드는 영화를 찾기 힘들 때는 재개봉 영화에 눈길을 돌려보자. 언제 다시 봐도 좋을 수작들을 극장 스크린으로 만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괴물 영화, 공포 영화도 이제는 ‘어벤져스’ 시대다. 사람들은 더 이상 한 편의 영화에 한두 종류의 크리처만 존재하는 것에 만족하지 못한다. 다양한 괴물들이 한 번에 등장하는 영화들을 꼽아봤다.
안타깝게도 우리가 영화를 볼 때 볼 수 있는 건 결과물뿐이다. 영화를 만드는 동안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누가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알 길이 없다. 그래서 영화를 찍는 사람들을 찍은 영화는 의미가 있다. 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우리를 영화 속으로 한 발 더 들어가게 하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