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어두운 세계를 다뤄온 아벨 페라라의 작품을 보면서 누군가는 박한 평가와 함께 그의 영화가 아름답지 않다고 비난할지도 모른다. 더러운 세상에 비하면 아벨 페라라의 B급 영화가 더 아름답다고 느끼는 이도 존재할 거다. 확실한 건, 어떤 평이 오든 그는 평소처럼 자신의 작품을 만들 거다. B급 영화와 거장이라는 전혀 안 어울려 보이는 두 단어를 함께 쓸 수 있는 감독, 아벨 페라라의 작품을 살펴보자.
당시 미국 부동산에 드리운 거품이 꺼지면서 촉발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진정되자, 이에 관한 서적과 영화들이 속속 등장하였다. 그 중에서도 호평과 흥행을 모두 안은 영화 넷을 골라 보았다.
노르웨이를 대표하는 감독을 떠올리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희망적인 건, 몇 년 전부터 평단과 관객 사이에 이름을 올리기 시작한 노르웨이 감독이 있다는 거다. 국내에도 개봉한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의 감독, 요아킴 트리에다.
이 주인공들에게는 좀처럼 욕망이 비치지 않는다. 혹은 그것이 생이 아니라 사를 향한다. 진지하게 죽음을 계획한다는 뜻은 아니다. 이중 몇에겐 그럴 의지조차 남지 않은 듯하다. 날마다 조금씩 혹은 틈날 때마다 간헐적으로, 스스로를 파괴하거나 고립시킨다.
드라마로 제작된 <재벌집 막내아들>처럼 최근 웹툰과 웹소설의 판타지 장르에서 회귀, 빙의, 환생 등 소위 ‘회빙환’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인 회빙환 장르 영화 다섯 편을 알아보았다.
SF영화에서 AI가 중요한 캐릭터로 등장한 지는 20여 년이 흘렀다. 초기에 기계적인 로봇에서 점점 인간을 닮아 가면서, 영화 속의 비중이나 캐릭터의 다양성도 점차 확장되었다.
그의 영화는 상처 입고 떨어져 나온 조각들로 만들어진 작품처럼 느껴지곤 한다. 질투, 아픔, 체념 같은 것들을 재료 삼아 만들었음에도 그의 영화는 아름답다. 영화가 닿을 수 있는 가장 깊은 곳을 향해가는, 잉마르 베리만의 작품을 살펴보자.
부두교 주술이나 미상의 첨단 과학, 의술을 이용하여 자신의 영혼을 다른 사람의 신체로 옮겨 영생을 꿈꾸는 이야기들이 있다. 대표적인 영화 네 편에 대해 알아보았다.
설립 10년 만에 정상의 독립영화 배급사로 우뚝 선 A24. 이제 얼마 남지 않은 2022년에 세 편의 영화 개봉을 남겨놓고 있는데, 모두 인간성의 깊은 내면을 다룬 독특한 소재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애석하게도 루마니아에 간다고 해도 뱀파이어를 만나는 건 쉽지 않은 일이다. 다행인 점은 영화를 통해 뱀파이어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이제는 뱀파이어의 고향인 루마니아의 풍경도 극장에서 마주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여러 형태로 발전해 온 뱀파이어 이야기처럼, 루마니아 영화의 스타일도 하나로 정의하기 힘들 만큼 다양하다.
SF 영화 중 러브크래프트의 영향을 받은 호러 영화가 1950년대부터 하나의 계보를 이루었다. 이들 가운데 박스오피스 흥행 여부에 관계없이 컬트 팬들의 추앙을 받은 대표적인 영화 여섯을 뽑았다.
그의 작품은 ‘예술 영화’라는 말을 들으면 떠올리는 느린 호흡과 전개, 명확하지 않은 줄거리 등의 특징을 품고 있다. 그러나 모든 것이 명확해야만 하는 세상에서 모호함은 예술만이 추구할 수 있는 가치가 아닐까? 보고 싶은 대로 본다는 마음으로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영화를 본다면 흥미로운 경험이 될 거다.
재위 70년을 넘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가 96년의 생을 마감하고 눈을 감았다. 그동안 영화와 TV에서 꾸준히 그를 담아 냈는데, 생애를 엿볼 수 있는 네 편의 영화를 골랐다.
1980, 90년대에 어린 시절을 보낸 세대라면 양갈래 머리에 주근깨가 수북한 말광량이 삐삐를 기억할 것이다. 그런 삐삐를 낳은 동화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에게도 실제 엄마가 되는 것은 그리 쉽지 않다.
도로 위에서 위협적인 대형 트레일러와의 쫓고 쫓기는 싸움을 그린 스필버그 감독의 <결투>는 로드 스릴러의 시작을 알린 출발점이었다. 로드 스릴러 장르를 대표하는 다섯 작품을 소개한다.
그의 공포 영화에서 두드러지는 건 ‘불안’이다. 인간이 가진 근본적인 불안은 그 어떤 미지의 존재보다도 두렵다. 무더운 여름, 금방 휘발하는 공포가 아니라 마음에 오래 남는 공포를 느끼고 싶다면 구로사와 기요시의 영화가 제격이다.
스콜시지 못지않은 공력을 자랑하는 갱스터 영화를 소개하고자 한다. 장르 형식에 갇히지 않고 포스트 모던한 태도로 전형성을 벗어난 작품들이다.
스크린이나 촬영장에서 연기 중인 부모의 모습을 보는 것만큼 연기를 시작하기에 좋은 조건도 없을 거다. 그중에는 부모의 후광에 상관없이 자신의 길을 걷는데 성공한 배우들이 존재한다. 누구의 딸이 아닌 ‘배우’로 기억된 이들의 작품을 살펴보자.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제일 화제를 모으는 건 배우 박은빈의 연기다. 그가 따라하지 않으려고 노력한 기존 영화의 연기 다섯 편을 꼽아 보았다.
하마구치 류스케 영화의 가장 큰 특징이라면 단연 대화다. 대화가 영화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는 건 누구나 인지하고 있지만, 대화로 특별함을 만들어내는 창작자는 흔치 않다. 그리고 하마구치 류스케의 대화에서 돋보이는 건 아이러니하게도 여백이다.
각본가는 글을 쓰는 사람이지만, 결국 영화가 될 글을 쓰기에 그들의 방점은 ‘글’보다 ‘영화’에 더 크게 찍혀 있다. 각본과 연출은 다른 영역이기에, 좋은 각본가가 좋은 감독이 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다만 영화의 시작에 각본이 있다는 것만은 부정할 수 없기에 각본가의 감독 데뷔는 늘 기대를 품게 만든다.
영화에 대한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져도 거기서 보았던 댄스 신이 선명하게 뇌리에 남는 영화들이 있다. 수많은 패러디 영상을 낳으면서 영화사에 길이 남은 댄스 신 넷을 알아보았다.
이 3편의 영화는 100만 달러의 작은 제작비를 들였지만, 가해자와 피해자의 대결에 초점을 맞춘 현실적인 공포를 세밀하게 묘사하여 로튼토마토 90% 이상의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는 영화 일을 시작한 이후로 연출, 제작, 각본, 연기 등 모든 분야에서 쉼 없이 달려왔다. 셰익스피어에 대한 존경을 영화로 표현하며 작품 활동을 하다가 결국 고향 벨파스트로 돌아온, 케네스 브래너의 주요 연출작을 살펴보자.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