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전부터 구전되어 전해지다가 1920년대에 처음 녹음되어 블루스 스탠더드가 된 ‘How Long Blues’는 님을 태우고 떠나간 기차를 못내 아쉬워하는 ‘블루스’ 정서를 담고 있다.
재즈와 블루스 음악의 팬이라면 넷플릭스 영화 <A Jazzman’s Blues>을 볼 만하다. 1940년대 미국 남부의 허름한 주크 조인트와 대도시 시카고의 화려한 나이트클럽의 음악으로 넘쳐난다.
1972년 부활절, 뉴욕 북쪽에 있는 싱싱 교도소 위문공연에 참가한 비비 킹은 특유의 넉살과 열정으로 재소자들과 음악적으로 하나가 되었다. ‘블루스의 왕’ 비비 킹은 이날 공연을 생애 최고라 여겼다.
‘블루스의 어머니’ 마 레이니는 1920년대 약 100곡의 녹음을 남겼다. 이 때를 배경으로 극작가 오거스트 윌슨이 쓴 브로드웨이 연극을 영화로 옮겼는데, 사회적으로 불평등한 당시 시대상을 담았다.
그의 연주는 아트 테이텀에 비견될 정도로 뛰어났지만 몸과 마음이 건강하지 않았다. 오랜 공백기를 지나며 고향 멤피스로 돌아간 그는, 생을 마감하기 불과 6주 전 대중 앞에서 마지막 연주 영상을 남겼다.
하드록 밴드의 기타리스트 생활을 접고 본격적으로 솔로로 나선 그는, 자신의 음악적 뿌리인 블루스로 전환하는 모험을 감행하였다. 너무나 유명한 <Still Got the Blues>는 그의 변화를 대표하는 앨범이다.
1940년대 포드 공장에서 일하며 디트로이트의 인기 블루스맨으로 등장한 그는, 나이 70대의 황혼기에 카를로스 산타나 등 젊은 뮤지션들과 콜라보 음반으로 연이어 그래미를 수상하며 자신의 꿈을 이루었다.
미국 남부의 영가, 노동요 등에서 태동한 블루스는 재즈와 함께 20세기 초반에 장르 음악의 모습을 갖췄다. 지난번 블루스 기타에 관한 기사에 이어, 블루스 피아노에서 빠질 수 없는 클래식 스탠더드를 모아 보았다.
재즈와 함께 미국 남부의 아프로-아메리칸 노동요에서 유래한 블루스 음악의 역사에는 세 명의 왕이 있었다. ‘블루스의 세 명의 왕’, B.B 킹, 앨버트 킹, 그리고 프레디 킹의 인생과 음악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후 반세기를 맞이한 그는, 테너 색소폰을 재즈 악기의 중심에 세운 최초의 스타 색소포니스트였다. 마일스 데이비스가 호킨스를 통해 발라드를 배웠다고 밝힌 것처럼 그는 발라드 연주에 강했고, 'Body and Soul'은 그런 그를 대표하는 곡이다.
그가 플리트우드 맥에 조인하며 매일 쓰기 시작했다는 일기는 이내 유명해졌다. 얼마 전엔 할리우드의 ‘악동’ 린제이 로한이 그 일기장을 사들여 자신이 출연하는 영화로 만들고 싶다고 밝힐 정도로 그의 삶은 한 편의 드라마였다.
누구에게나 인기 있는 대중적인 팝 음악이 아닌 블루스 스탠더드 곡임에도 유튜브에서 수천만 조회수를 올리는 곡들이 있다. 영혼을 울리는 블루스 기타와 소울 넘치는 보컬이 결합한 7곡을 소개한다.
1962년 결성해 반세기 동안 2억 장의 음반을 판매한 롤링스톤스. 그들의 밴드명은 시카고 블루스 레전드, 머디 워터스의 히트곡 ‘Rolling Stone’에서 유래했다. 이들의 각별한 인연은 머디 워터스가 사망하기 2년 전 특별한 공연으로 이어졌다.
미국 미시시피주 클락스데일 지역 61번과 49번 도로 교차점은 ‘Devil’s Crossroads’라 불린다. 전설적인 블루스 기타리스트 로버트 존슨이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는 바로 그곳이다.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