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란 출신 영화감독 바박 안바리(Babak Anvari)는 단편영화 <Two & Two>로 2012년 영국 아카데미상(BAFTA) 최고 단편영화 부문 후보에 올랐다. 이 단편은 유튜브 1천만 조회수와 2만여 개의 댓글이 달린 화제작이 되었다. 7분의 러닝타임 동안 수십 번이나 등장하는 거짓 명제 ‘2+2=5’는 무슨 의미일까? 어린 시절 이라크와 전쟁을 치른 이란에서 자란 그는, 전쟁에 징발된 아버지를 생각하며 어릴 때부터 누군가 오밤중에 대문을 두드리는 공포에 지배당해 잠을 못 이뤘다고 토로한다. 그의 내면에 잠재된 공포는 제20회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 출품한 <어둠의 여인(Under the Shadow)>에 훌륭하게 표출되어 특별심사위원상을 받기도 했다. 

단편영화 <Two & Two>(2012)

‘2+2=5’는 영국 얼터너티브 록 그룹 라디오헤드(Radiohead)의 2003년 앨범 <Hail to the Thief>에 수록된 싱글 제목으로 사용되었다. 앨범 명도 미국의 대통령 찬가 ‘Hail to the Chief’를 패러디한 것으로, 2000년 대통령 선거에서 조지 부시(George W. Bush)가 인기 정치인 앨 고어(Al Gore)를 누르고 당선된 데 대한 조롱이다. ‘2+2=5’라는 다소 생경한 제목으로 발표된 이 곡은 영국 차트 15위까지 오른 인기곡이 되었고, 뮤직비디오는 조지 오웰(George Orwell)의 소설 <1984>(1949)에서 영감을 받은, 정치와 산업사회에 대한 강한 풍자 메시지를 담고 있다.

라디오헤드의 여섯 번째 앨범 <Hail to the Thief>의 싱글 ‘2+2=5’

명백히 틀린 명제라는 의미의 도그마 ‘2+2=5’의 역사는 16세기 유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문헌이나 편지에서 ‘2+2=4’는 ‘의심할 필요 없는 당연한 진실’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반대의 의미로 ‘2+2=5’는 ‘증명할 필요 없는 틀린 사실’로 곁들여 쓰이기 시작했다. 이 표현은 유럽이 수백 년 동안 정쟁과 전쟁으로 점철된 정치적 혼란을 겪으면서 정치인이나 학자들이 상대를 비난하는 관용구로 수시로 사용되었다. 1930년대 구소련에서는 비현실적인 목표로 생산량을 늘리려는 선전용 문구로 쓰이기도 했다.

러시아 예술가 Yakov Guminer의 프로파간다 포스터(1931)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는 이 용어를 다시 확산시킨 계기가 되었다. 소설의 배경인 전체주의 사회를 묘사하면서 ‘Big Brother’, ‘Doublethink(이중사고)’와 함께 ‘2+2=5’의 개념을 활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2009년 이란 대통령 선거전에서 상대를 비방하는 용어로 등장하기도 했고, 영화나 게임에서 이를 채용한 플롯(plot)이 등장하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