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Neo, 키아누 리브스)는 현실과 가상 사이의 혼돈에서 방황한다. 현실인지 꿈인지 구분이 안 되는 몽롱한 상태에서 귓속을 맴도는 반복적인 다운템포의 일렉트로닉 음악이 바로 트립합(Trip-Hop)이다.(*Trip은 환각 상태를 뜻하는 영국 은어)

트립합은 1990년대 영국 남서 지역의 브리스톨 언더씬에서 생겨나 ‘브리스톨 사운드’라 부르기도 한다. 이 지역은 중세 시대엔 신대륙 탐험의 전초기지로 유명하더니, 이제는 다양한 이민자 문화, 그라피티, 트랜디한 트립합 클럽으로 상징할 수 있는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당시 브리스톨 지역의 언더씬에서 트립합 탄생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세 팀과 그들의 대표곡을 알아본다.

 

1. 매시브 어택(Massive Attack)

이 장르의 선구자이자 가장 대표적인 밴드가 매시브 어택이다. 1988년 브리스톨에서 결성해 1991년 발표한 앨범 <Blue Line>이 선풍을 일으키면서 트립합을 전 세계에 알렸다. 앨범에 수록한 곡 중 가장 유명한 ‘Unfinished Sympathy’를 라이브로 들어보자. 이 곡의 제목은 슈베르트의 ‘Unfinished Symphony(미완성 교향곡)’를 살짝 바꾼 것이며, 유럽 전역에서 차트 상위권에 랭크되는 인기곡이다.

Massive Attack 'Unfinished Sympathy'(Live 2004)

그들의 음악을 샘플링한 리믹스 버전도 다양하다. 세계 100대 DJ로 선정된 브라질 출신 기 보라토(Gui Boratto)가 그들의 2001년 발표작 ‘Paradise Circus’를 멋지게 리믹스했다.

Massive Attack 'Paradise Circus' (Gui Boratto Remix)

세 번째 앨범인 <Mezzanine>에 수록된 ‘Teardrop’도 빼놓을 수 없는 화제곡이다. 특히 MTV 상을 수상한 뮤직비디오는 자궁 속 태아의 노래를 묘사해 경탄을 자아냈고, 백그라운드에 깔리는 퍼커션은 심장박동 소리를 연상케 한다.

Massive Attack 'Teardrop'

 

2. 포티스헤드(Portishead)

트립합은 전자오르간 배경음, 슬로우 템포의 반복적인 드럼 비트, 귀에 속삭이는 듯한 여성보컬 같은 공통의 특징을 지니는데, 이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한 밴드가 포티스헤드(*Portishead: 브리스톨 인근의 도시 이름)다. 이들 3인조의 히트곡 ‘Glory Box’를 들어보자.

Portishead 'Glory Box' (Live)

종종 담배를 피우며 노래하는 베스 기븐스(Beth Gibbons)의 창법은 종종 빌리 홀리데이(Billie Holiday)와 비교되곤 한다. 그녀의 음울하고 절규하는 듯한 창법이 잘 드러나는 노래가 ‘Mourning Air’다.

Portishead 'Mourning Air'

이들은 불규칙적인 활동과 언론 기피증으로도 유명하다. 1994년 데뷔한 이래 3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했을 뿐이고, 온라인으로 가끔 소식을 전하거나 싱글을 발표하곤 한다. 지난 6월엔 총격으로 사망한 영국 조 콕스 하원의원을 추모하는 뮤직비디오를 발표하여 사회적인 메시지를 던졌다. “We have for more in common than which divides us.(우리에겐, 우리를 단절시키는 것보단 공통적인 것이 더 많아요.)”라고.

Portishead 'SOS'

 

3. 트릭키(Tricky)

트립합의 또 다른 아이콘 중 하나다. 그는 브리스톨의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청소년 범죄에 연루되어 17세때 교도소에서 6개월 형을 살았다. 이후 래퍼가 되어 매시브 어택의 데뷔 앨범 세션 일을 하다가 1995년 솔로 앨범 <Maxinquaye>로 성공의 길에 들어섰다.

Tricky 'Hell Is Round the Corner'

어릴 때 할머니가 자주 TV의 B급 공포물을 틀고 외출하여, 그의 음악은 어둡고 음습한 정신세계를 보여 준다. 영화 <13 고스트>, <퀸 오브 뱀파이어>와 같은 공포영화에서 트릭키의 음악을 들을 수 있다. 그의 열혈 팬 데이비드 보위는 “그의 음악 없이는 잠들 수 없게 만드는 마법사”라고 말한 적도 있다고.

Tricky 'Come to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