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형태가 달라지고 있다. 사람들은 더는 결혼과 출산이 인생의 필수조건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가족이라고 해서 유대감과 공동체성을 보장해 주진 않는다. 사람들은 특별한 이유로 새로운 가족을 구성하거나 기존의 가족과 거리를 두기도 한다. 정상적인 가족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난, 특별한 가족 이야기를 다룬 영화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세 자매가 아버지 죽음 이후 이복동생을 가족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그린 <바닷마을 다이어리>, 상처 있는 가족을 보듬는 멕시코시티의 어느 여성 이야기 <로마>, 싱글맘과 사춘기 아들의 성장 이야기 <우리의 20세기>를 만나보자.

* 본문은 스포일러가 있습니다.

 

여성 가족 <바닷마을 다이어리>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받은 고레에다 히로카즈의 2015년 작품이다. 가마쿠라(이곳은 <슬램덩크> 배경지이기도 하다) 지역에서 일상을 공유하며 자연스럽게 유대감을 키우는 세 자매와 어린 이복동생 이야기를 그렸다. 가마쿠라에서 사계절이 흐르는 동안 네 명의 여성은 점점 서로에게 스며든다. 일본의 쟁쟁한 유명 배우들, 드라마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에 출연한 아야세 하루카, 동명의 영화에 출연한 나가사와 마사미, <분노>에서 이즈미 역을 맡았던 히로세 스즈가 주연으로 등장한다. <어느 가족>에서 그랬듯 이 영화에서도 등장인물들은 바다를 거닐면서, 불꽃놀이를 하면서 추억을 쌓는다.

“여기가 네 집이야, 언제까지나”

어릴 적 어머니와 이혼하고 먼 곳에서 따로 살던 아버지의 부고 소식을 들은 '사치'(아야세 하루카). 어머니의 가출 후 할머니와 같이 자신이 돌봤던 두 동생 '요시노'(나가사와 마사미)와 '치카'(카호)을 데리고 아버지 장례식을 방문한다. 그곳에서 이복동생 '스즈'(히로세 스즈)를 만난다. 부모님을 여의고도 어른스럽게 행동하던 스즈를 보며 사치는 동류의식을 느낀다. 스즈가 못내 마음에 걸렸던 요시노는 스즈에게 함께 살자고 제안한다. 그렇게 할머니가 물려준 집에서 살게 된 네 자매는 함께 매실을 따서 매실주를 담그고, 잔멸치 덮밥을 해 먹고, 서로의 고민을 들어준다. 그렇게 시간이 흐르면서 스즈는 언니들에게 마음의 문을 완전히 연다.

 

두 어머니가 있는 가족 <로마>

<그래비티>를 연출한 알폰소 쿠아론의 작품으로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 아카데미 감독상, 촬영상을 받았다. 멕시코시티에서 유년을 보낸 감독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다뤘다. 주인공 클레오(얄리트사 아파리시오)의 실제 모델은 알폰소 쿠아론 감독의 어릴 적 유모, 리보다. 영화는 감독이 유년 시절을 보냈던 1970년대 멕시코를 배경으로, 백인 중산층 집에서 유모로 일하는 클레오의 일상과 민주화 물결로 요동치던 멕시코의 사회적 상황을 그린다. 감독이 시나리오, 촬영, 편집 등 거의 제작 과정을 주도적으로 해냈다. <로마>에 참여한 모든 스텝은 멕시코 출신이다. 클레오를 연기한 얄리트사 아피리시오는 연기 경험이 전무한 멕시코 어느 시골 마을 출신이다.

“우린 널 사랑한단다, 클레오”

멕시코 원주민 출신 클레오는 백인 중산층 소피아의 집에서 네 명의 아이들을 돌보는 유모이자 가정부이다. 의사인 소피아의 남편은 부재중이지만 집 안은 언제나 아이들의 장난과 싸움, 소피아 잔소리로 활기차다. 그곳에서 클레오는 소피아의 가족들과 부대끼며 나름 자신만의 시간도 보낸다. 몇 번 데이트를 한 남자가 클레오를 임신시키고 도망가지만, 소피네 가족은 그런 클레오를 돌본다. 그러던 중 소피아 남편은 바람나 아이들과 소피아의 곁을 떠나고, 클레오는 유산하게 된다. 모두가 가진 나름의 상처를 안고 소피네와 클레오는 휴양지로 향한다. 바다에 빠질 법한 아이를 클레오가 구하면서 온 가족이 모여 서로를 보듬어 안는다. 서로서로 상처를 껴안는다.

 

싱글맘 가족 <우리의 20세기>

미국 인디신에서 뮤직비디오를 연출한 이력이 있는 마이크 밀스 감독의 작품이다. 감독의 전작 <비기너스>는 자전적인 영화로로, 성 소수자로 살게 된 아버지의 이야기를 담았다. <우리의 20세기>는 감독이 어머니를 떠올리며 사춘기 아들을 기르는 싱글맘과 그 둘에게 힘이 되는 쉐어하우스 친구들의 일상을 그렸다. <캡틴 마블>에서 캐럴의 롤모델, 로슨 박사 역할을 맡았던 아네트 베닝이 50대 싱글맘 도로시아를 연기했다. 사춘기 아들 제이미는 넷플릭스 시리즈 <빨간 머리 앤>에서 길버트를 연기했던 루카스 제이드 주만이 맡았다. <레이디 버드> 감독 그레타 거윅은 페미니스트이자 포토그래퍼인 쉐어하우스 일원 애비를, 자유분방한 제이미 친구 줄리는 엘르 패닝이 연기했다.

“모르겠어, 나 페미니스트인가 봐”

50대 중년 여성 도로시아(아네트 베닝)는 홀로 사춘기 아들 제이미(루카스 제이드 주만)를 키우고 있다. 제이미가 사춘기가 되면서 공감대 형성이 어려워진 도로시아는 쉐어하우스 임차인인 애비와 제이미의 친구 줄리에게 도움을 청한다. 엉망인 시대, 제이미가 좋은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도와 달라는 부탁이었다. 애비와 줄리는 제이미를 교육시키고자 딱히 인위적인 노력을 하지 않는다. 그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자신들이 겪는 일상에 제이미를 초대한다. 제이미는 애비의 병세를 지켜 보기 위해 그와 산부인과를 들르기도 하고, 임신을 걱정하는 줄리의 고민을 상담해 주고 줄리와 함께 책을 읽기도 한다. 이 모든 시간 속에서 제이미는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를 습득한다. 나아가 엄마의 삶을 이해하고자 노력한다. 제이미는 엄마에게 들려주고 싶었던 여성 작가의 책 한 구절을 읽어준다. 왜 그러냐는 엄마의 말에 제이미는 대답한다. “모르겠어, 나 페미니스트인가 봐.”

 

Writer

망원동에서 사온 김치만두, 아래서 올려다본 나무, 깔깔대는 웃음, 속으로 삼키는 울음, 야한 농담, 신기방기 일화, 사람 냄새 나는 영화, 땀내 나는 연극, 종이 아깝지 않은 책, 흥얼거릴 수 있는 노래를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