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화된 작품이 가장 많은 작가는 누구일까? 여러 작가의 이름이 언급되겠지만 ‘셰익스피어’의 이름을 듣는 순간 가장 격하게 동의하게 될 거다. 특히 그의 4대 비극 <오셀로>, <리어왕>, <햄릿>, <맥베스>는 많은 감독에 의해 영화화됐다. 셰익스피어의 비극은 왜 영화감독들에게 사랑받는 걸까? 아마 세상의 모든 비극을 관통하는 메시지가 담겨있기 때문일 것이다. 셰익스피어가 직접 본다면 어떻게 반응할지 궁금한, 스크린에서 펼쳐지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만나보자.

 

<오셀로>를 원작으로 한, 오슨 웰스의 <오셀로>

20대에 전설이 된 감독, 데뷔작으로 전설이 된 감독, 영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을 만든 감독. 이는 모두 오슨 웰스의 수식어다. 오슨 웰스가 20대에 만든 장편영화 데뷔작 <시민 케인>(1941)은 영화사 최고의 걸작으로 불린다. 연출뿐만 아니라 배우, 각본가로서도 탁월했던 오슨 웰스의 꿈 중 하나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을 영화화하는 것이었다. 그는 모든 작품을 영화화하지는 못했지만 <맥베스>(1948)와 <오셀로>(1952)에서 각본, 주연, 연출을 모두 소화했고, <오셀로>는 제5회 칸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무어인 ‘오셀로’(오슨 웰스)는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운 장군으로 베니스 사이프러스에 살고 있다. 그는 ‘데스데모나’(수잔 클로티어)와 사랑에 빠지고 장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비밀리에 결혼식을 올린다. 터키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사랑을 쟁취하는 등 승승장구하던 오셀로의 곁에는 ‘이아고’(마이클 맥리아모어)가 있다. 이아고는 충신 같지만 오셀로를 질투하는 인물로, 오셀로를 궁지에 빠뜨리려 한다. 이아고는 오셀로가 부관 ‘캐시오’(마이클 로렌스)와 데스데모나의 사이를 의심하도록 계략을 꾸민다.

<오셀로> 트레일러 

배우자를 의심하는 의처증이나 의부증을 ‘오셀로 증후군’이라고 부를 만큼, 오셀로의 의심은 깊었다. 전쟁에서 승리하고 사랑을 차지하는 등 가진 게 많은 만큼 불안도 큰 오셀로에게, 자신이 사랑하는 이가 다른 이를 사랑할지도 모른다는 의심은 금방 부풀어 올랐다. 의심이 기존의 신뢰보다 커졌을 때, 행복한 결론은 기대하기 힘들다. 상대에게 믿음을 증명하라고 하기 전에 자신이 지닌 믿음부터 살펴보는 게 관계에서의 예의일 거다. 사랑의 시작점은 상대방이 아니라 나 자신이니까.

 

 

<리어왕>을 원작으로 한, 구로사와 아키라의 <란>

구로사와 아키라는 자국 일본보다 해외에서 더 인정받던 감독이다. 조지 루카스와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가 <카게무샤>(1980)의 제작에 참여하고, 스티븐 스필버그가 <꿈>(1990)의 기획에 참여하는 등 해외 수많은 거장이 구로사와 아키라의 팬을 자처했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은 <맥베스>를 원작으로 한 <거미의 성>(1957)과 <리어왕>을 원작으로 한 <란>(1985)까지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중 두 작품을 스크린으로 옮겼다. 두 작품 모두 원작의 배경을 동양으로 옮기면서 원작 이상의 매력을 보여준다.

일본 전국시대, 성주 ‘이치몬지 히데토라’(나카다이 다츠야)는 아들들에게 자신의 권력을 장남 ‘타로’(테라오 아키라)에게 넘기겠다고 발표한다. 둘째 아들 ‘지로’(네즈 진파치)는 잠자코 그 말에 따르지만, 막내아들 ‘사부로’(류 다이스케)는 말도 안 된다며 분개한다. ‘히데토라’는 분노해서 ‘사부로’와 연을 끊기로 한다. 권력을 넘긴 뒤 히데토라는 장남 타로의 성에 방문하는데, 타로는 아내 ‘카에데’(하라다 미에코)의 조언에 따라 히데토라를 푸대접한다. 권력을 넘기고 편하게 지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히데토라의 예상은 완전하게 빗나가고, 그를 둘러싼 상황은 점점 나빠진다.

<란> 트레일러 

<란>은 인물별로 상징색을 부여한 의상이 특히 돋보이는데, 의상 감독 와다 에미는 이 작품으로 제58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의상상을 받았다. <란>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권력을 탐하고, 권력을 위해 가족을 비롯해서 수많은 이들을 죽인다. 권력을 좇느라 나를 아끼는 이들을 모두 잃고, 권력을 얻은 뒤에 권력을 탐하는 이들로 둘러싸인 삶을 산다면 과연 행복할까? <란>은 행복하기 위해 권력을 좇는다는 게 얼마나 모순되고 비극인지 알려주는 작품이다.

 

 

<햄릿>을 원작으로 한, 톰 스토파드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변주한 연극 한 편이 영국에서 주목을 받는다. 이 연극은 바로 톰 스토파드가 극본을 쓴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이다. 단숨에 주목받는 극작가가 된 톰 스토파드는 영화계에서 각본가로 활약한다. 테리 길리엄 감독의 <브라질>(1985)과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태양의 제국>(1987)의 각본가로 참여했고, 제71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주요 부문을 휩쓴 <셰익스피어 인 러브>로 각본상을 받았다.

각본가로 활동한 톰 스토파드의 유일한 영화 연출작은 자신의 극본을 원안으로 한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1990)로, 제47회 베니스국제영화제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에는 셰익스피어의 원작 ‘햄릿’에서 친구로 큰 비중 없이 등장하는 ‘로젠크란츠’(게리 올드만)와 ‘길덴스턴’(팀 로스)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둘은 숲에서 수상한 극단을 만나게 되고, 갑작스럽게 원작 ‘햄릿’의 세계에 진입한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 트레일러 

셰익스피어의 원작 <햄릿>은 어두운 비극이지만, 톰 스토파드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는 위트로 가득하다. 주인공 햄릿이 아닌 원작에서 별 볼 일 없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에 집중하는 이유는, 삶이라는 연극에서 주인공은 항상 자신이라는 걸 알려주기 위해서인 듯 보인다. 연극 <햄릿>에서 모든 관객이 햄릿을 주인공이라고 해도, 작은 배역을 맡은 배우들에겐 자신이 주인공인 것처럼 말이다. 세상이 말하는 주인공이 누구일지라도 내 삶에서 주인공은 나다. 삶에서 우리가 받은 대본에는 ‘삶의 주인공은 나’라는 단 한 줄의 지문만 적혀있다. 누가 뭐래도 자신을 믿고 전진하는 게 우리의 유일한 역할이다.

 

 

<맥베스>를 원작으로 한, 저스틴 커젤의 <맥베스>

위에서 언급한 오슨 웰스와 구로사와 아키라를 비롯해서 로만 폴란스키까지 수많은 감독이 <맥베스>를 영화화했다. <스노우타운>(2011)으로 주목받은 호주 출신 감독 저스틴 커젤의 <맥베스>(2015)는 배우들의 매력이 큰 작품이다. 마이클 파스벤더부터 마리옹 꼬띠아르와 숀 해리스까지, 원작의 대사를 최대한 살린 연출에 배우들의 호연이 더해져서 비극적인 분위기가 증폭된다.

스코틀랜드의 전사 ‘맥베스’(마이클 파스벤더)는 ‘뱅코우’(패디 콘시딘)와 함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돌아오는 길에 의문의 세 마녀를 만난다. 세 마녀는 맥베스가 코다의 영주가 되고 나중에는 왕이 될 거며, 뱅코우의 자손은 훗날 왕이 될 거라고 예언한다. 맥베스는 코다의 영주가 되고, 예언이 맞았다는 사실에 혼란스러워한다. 맥베스의 아내(마리옹 꼬띠아르)는 맥베스에게 왕이 되라고 하고, 맥베스는 ‘덩컨 왕’(데이빗 듈리스)을 살해하고 왕이 되지만 점점 세 마녀의 예언에 집착한다.

<맥베스> 트레일러 

용맹한 전사 맥베스는 세 마녀의 예언을 들은 후로 세 마녀의 말에 갇혀서 그 외에 세상을 제대로 못 본다. 충성을 바치며 묵묵히 일을 하던 맥베스는 예언 때문에 왕을 꿈꾸고, 왕이 되자 자신의 자손이 왕이 되길 바란다. 권력에 대한 욕망은 끝이 없고, 현명하던 맥베스의 시야는 좁아진다. 가장 달콤한 언어를 쫓았더니, 그 길은 자신을 파멸로 이끄는 길이었다. 권력에 대한 욕망은 달콤한 첫 맛과 달리 독한 뒷맛을 남긴다는 걸, 맥베스의 비극을 통해 깨닫는다.

 

 

Writer

에세이 <나만 이러고 사는 건 아니겠지>, <달리다 보면> 저자. 좋아하는 건 영화, 여행, 음악, 문학, 음식. 특기는 편식. 꾸준한 편식의 결과물을 취향이라고 부르는 중. 취향을 바탕으로 창작활동을 하고 있다.
김승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