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야말로 물의 제국입니다. 거미줄처럼 천지사방으로 퍼진 샛강은 농토의 젖줄이 되어 1년 3모작의 풍성한 열매를 맺어줍니다.” 풍요롭고 아름다운 메콩강의 풍경처럼, 근사한 음악들이 베트남에 흐릅니다.
올해 9월 HBO Max에서 선보일 <Raised by Wolf>의 예고편이 벌써 500만 조회 수를 넘기며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에이리언>, <블레이드 러너>, <마션>으로 이어진 SF 명감독의 첫 드라마 감독 작품이다.
카메라와 편집 그리고 행동을 활용해 웃음을 주는 감독이 있다. 바로 에드가 라이트. 그의 코미디에는 다른 게으른 코미디 영화에서는 찾기 힘든 입체적인 유머가 있다. 그가 치밀하게 설계한 코미디에 빠져보자.
미국에 팀 버튼 감독이 있다면 영국에는 그들이 있다. 일란성 쌍둥이인 퀘이 형제는 동유럽의 문학과 전위적인 음악에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의 억눌린 망상과 어두운 무의식의 세계를 다양한 장르로 살려냈다.
인도의 애니메이션 스튜디오가 8년간 심혈을 기울인 이 단편 애니메이션에는 뭄바이의 시가지 모습과 모녀 간의 애틋한 관계가 정교한 클레이 애니메이션으로 묘사되어 세계 영화제의 찬사를 받았다.
릴 나스 엑스의 ‘Old Town Road’ 이후 틱톡은 히트곡 제조기 역할을 하고 있다. 국내에선 지코가 ‘아무노래’ 챌린지로 홍보에 성공하기도 했다. 틱톡으로 인해 운명이 달라진 히트곡엔 어떤 음악들이 있는지 살펴보자.
2020년, ‘아이 러브 뉴욕’ 로고로 유명한 뉴욕의 그래픽 디자이너 밀턴 글레이저가 91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영화관이 문을 닫자 스트리밍 상영으로 돌아선 영화들도 있지만, 이미 엄청난 제작비를 투자한 블록버스터 영화들은 대형 영화관 상영을 위해 개봉일을 미루고 있다.
“섬 전체가 전구를 친친 감고 있어 싱가포르는 ‘크리스마스 트리’라고 불린다.” 열대 나무와 야자수들은 불빛 때문에 초록이 옅어졌지만, 야경만큼은 예술적이고 낭만적인 나라. 싱가포르의 음악을 소개합니다.
“내가 심연을 들여다보면 심연도 나를 들여다본다.” 이 의미심장한 문장을 일러스트레이터 버지니아 모리는 먹빛 그림으로 풀어낸다. 기이하고 뒤틀린 것, 정확히 무엇이라 이름 붙일 수 없는 것들을 통해서.
아름다운 여성의 시신이 들어오자 장의사는 감상에 젖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게 되고, 이에 따른 결과는 혹독하다. 당시 블룸하우스 인턴을 마친 19세의 유망 감독 작품으로, 각종 영화제의 초청을 받았다.
20세기 말, 이전까지 남성 일색이었던 록 밴드 세계에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나서기 시작했다. 이들은 독특한 감성을 앞세워 무대를 사로잡았고, 작곡 능력까지 발휘하며 무명의 얼터너티브 밴드를 정상에 올려놓았다.
리메이크 후보로 자주 물망에 오르는 호러 클래식 <The Entity>. 실존했던 한 여성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그를 성적으로 폭행했던 초자연적인 실체가 존재했는지, 아니면 심리적인 가위눌림 현상이었는지 추적한다.
이 영화는 로튼토마토 0%라는 최악의 평가를 받았지만, 많은 나라에서 넷플릭스 영화 중 높은 순위에 오르며 화제작으로 부상했다. 엉성한 스토리와 오버액션은 실소를 부르지만, 후속편을 기다리는 시청자도 많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들꽃에서 따온 영화상 이름처럼, 독립영화계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성취를 내고 있다. 제7회 들꽃영화상에서 수상한, 특히 발굴의 의미가 큰 신인감독상을 받은 작품들을 살펴보자.
한 곡의 히트곡 만을 남긴 채 잊힌 뮤지션들을 ‘원-히트-원더’라고 한다. 그들은 누구이고, 어떤 곡을 남겼고, 어떤 이유로 우리에게서 멀어졌는지 알아보았다.
수도인 울란바토르를 벗어나면, 자연 그 자체를 만날 수밖에 없는 나라. 흔히 몽골의 음악은 거칠고 토속적일 것이라 예상하겠지만, 전혀 아니다. 자연이 묻어나오면서도 우리 편견보다 훨씬 세련되고 매끈한 몽골의 음악을 소개한다.
전 세계의 자가 격리 중에도 뮤지션들은 자신들의 집에서 창작 활동을 계속하며 사회에 공헌한다. 각자의 집에서 온라인을 통해 음악을 함께 만들어 재난을 극복하자는 메시지를 전한다.
최근 유아인은 다채로운 배역을 오가며 동시대 배우 중에서 단연 돋보이는 성취를 이뤘다. 그의 대표작 <버닝>과 최근작 <#살아있다>를 들여다보자.
올해 그래미 시상식에서 최다 8개 부문 수상 후보에 올라 3개 부문에서 수상한 그는, 싱글 ‘Juice’로 자신의 신체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자신감을 찾자는 신체 긍정주의를 설파하고 나섰다.
전에 있던 것으로 전에 없던 것을 만드는 사람들이 있다. 해외에서 반향을 일으킨 ‘씽씽’, 그리고 씽씽을 이끈 장영규. 그가 주축이 된 새 밴드 ‘이날치’가 거센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날치를 만나 음악과 협업, 앨범에 관한 이야기를 들었다.
무언가 크게 이루어 보겠다는 희망을 가리켜 우리는 ‘야망’이라 부른다. 러닝 타임 내내 그 어떤 영화 속 주인공들보다도 유독 반짝이는 야망을 거머쥐고 있던 이들은 무엇을 얻고 또 무엇을 잃었는가?
1960년대, 레이 해리하우젠 감독으로 대표되는 스톱모션 영화에 대한 향수를 그리기 위해 해골 전사 캐릭터를 소환했다. 모션 캡처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사라진 스톱모션의 추억을 호주 감독이 살려냈다.
슈퍼밴드 포플레이의 베이시스트 네이선 이스트는 무려 2,000회가 넘는 레코딩 세션에 참여했을 정도로 수많은 뮤지션들이 찾는 연주자다. 훌륭한 인성과 안정된 연주력을 겸비한 그의 LA 자택을 가보자.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